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임기 중에 발생한 인플레이션 등 경제 관련 불만을 공격하면서 유권자들에게 인기를 얻어 결국 선거에서도 최종 승리했다. 하지만 최근 내놓은 고율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를 동반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공화당 내에서는 “시장 불안이 확산하면서 내년 11월 중간선거 등에서 경제 문제로 발목을 잡힐 수 있다”는 압박이 확산하고 있다고 더힐은 전했다.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텍사스)은 5일 팟캐스트에서 “전 세계 국가들이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끔찍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고 국민이 고통을 겪게 된다면 유권자들은 여당에 벌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제리 모런 상원의원(캔자스)도 지역구민 상당수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지나치게 공격적이라고 우려한다고 밝혔다.
우려는 상·하원을 가리지 않았다. 네브래스카주의 돈 베이컨 하원의원은 트럼프 2기 정부의 일부 정책 방향과 관련해 “주민들은 무역 분쟁이 아닌 자유 무역 협정을 원한다”라며 반대했다. 네브래스카는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앞섰던 지역이다. 팻 라이언 하원의원(뉴욕)은 “사람들은 결국 관세가 중산층, 노동 계층, 중소기업에 대한 세금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며 관세의 정치적 대가가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단기적 고통보다 장기적 이익이 클 것”이라며 관세정책을 옹호하고 있지만, 공화당 내에서 공개적으로 불협화음이 커지는 것은 부정적인 여론 때문이다. 6일 발표된 로이터와 입소스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지지율은 37%에 불과하다.
한 공화당 전략가는 더힐에 “이런 여론이 너무 오래 지속된다면 설령 상황이 완화된다고 해도 공화당은 위험해질 것이고,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도 단기적 고통이나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공화당은 완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도 이날 “공화당의 성패는 관세와 경제 상황에 맞물려 있다”라며 공화당 의원들의 저항이 점차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홍정수 기자 hong@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