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항구 폭발 사상자 1천명 넘어

1 week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란 남동부 최대 항구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최소 40명이 사망하고 1000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80% 진압된 현재, 호르모즈간 주정부는 29일까지 애도 기간을 지정했으며, 사고 원인은 인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있다.

당국은 화학물질 보관 컨테이너에서의 폭발 사고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란 정부는 화물 안전 관리의 실패를 심각하게 보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이란 정부, 외부개입설 일축
대량 적재 화학물질 폭발
"테러 아닌 사고 가능성 커"

이란 남동부 최대 규모 항구에서 벌어진 폭발로 인명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AP 등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전날 반다르아바스 샤히드라자이 항구에서 발생한 사고로 최소 40명이 숨지고 1000명이 다쳤다. 또 항구에 쌓인 컨테이너 중 2000개가 불에 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기준 화재의 80%가 진압된 상태로 호르모즈간 주정부는 오는 29일까지 사흘 동안을 애도 기간으로 지정했다. 이와 별도로 중앙정부도 28일 하루를 애도일로 정했다.

사고가 일어난 토요일은 공교롭게도 이란에서 한 주의 업무가 시작되는 날이라서 인명 피해를 키운 것으로 파악된다. 토요일과 일요일이 주말인 대다수 국가와 달리 이란은 토요일과 일요일이 근무 주간이며 금요일이 공식 휴무일이다. 또 사고 발생 시각(오전 11시 55분)은 직원들의 외부 움직임이 많은 점심 시간대였다.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지만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발언을 고려하면 인재(人災) 가능성이 유력해 보인다. 페제시키안 대통령은 이날 열린 호르모즈간주 위기관리본부 특별회의에 참석해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발생했다"고 질책하며 특히 "이 항구에 컨테이너 12만∼14만개가 장기간 보관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란 정부 대변인도 "화재 진압 전까지 원인 규명이 어렵다"면서도 항구 한쪽 구석에 보관된 화학물질 보관 컨테이너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지목했다.

지금까지 정부 발표를 종합하면 2020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의 대폭발 참사처럼 항구 내 화물 안전관리에 실패한 인재가 유력하다. 베이루트 대폭발 참사는 항구 한편에 6년째 적재된 다량의 질산암모늄이 폭발 원인으로 조사됐다.

[이재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