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D-Day, 과반은 "돌아가고 싶다"지만…'트리플링' 대비 속도

2 weeks ago 2

입력2025.04.30 06:53 수정2025.04.30 06:53

/사진=뉴스1

/사진=뉴스1

교육부와 의과대학 학장들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의대생 88%가 복귀를 찬성한다고 응답했지만, 정부와 강경파 의대생 단체와의 대화가 불발되면서 대규모 '트리플링'이 현실화됐다.

30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시한이 만료된다. 이날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의대생 집단 유급은 현실화된다. 교육부는 이미 전날 전국 40개 의대에 이번 달 말까지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 처분을 확정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30일까지 수업에 불참한 의대생을 유급 처리하기로 했다. 의대생 수업 복귀율은 여전히 약 30%에 못 미친다. 약 70% 의대생이 유급 처리 대상이다.

이미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순천향대 등 일부 학교는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에게 유급 대상임을 통보했다. 30일까지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은 다음 달 1일부터 유급 예정 통보를 받게 된다.

의대는 수업 과정이 1년 단위로 짜여 있는 경우가 많아 이번 학기에 유급되면 다음 학기에 수업을 듣기 힘들다. 이 때문에 내년도 예과 1학년은 3개 학년(24·25·26학번) 1만여 명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의대생들도 학교로 돌아오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29개교는 지난 25일부터 대학별로 1∼3일간 수업 복귀 찬성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지난 29일까지 조사가 완료된 28개 의대 가운데 24개교의 자료를 취합한 결과, 전체 조사 대상 1만1889명 가운데 56.7%에 해당하는 6천742명이 복귀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7673명만 놓고 보면 복귀 찬성 비율은 87.9%로 훨씬 올라갔다.

복귀를 원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조리돌림 등의 공포로 대다수의 학생은 여전히 학교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9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의대생들의 만남에서도 학생들은 의대 특성상 위계적이고 공동체적인 문화 속에서 복귀 시 낙인 효과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학사 시스템상 유급 처리는 학기 말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대규모 유급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부 의대생은 대학이 학칙을 개정해서라도 복귀하고자 하는 의대생 유급 처리를 무효로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의대생에게 복귀에 동의하는 방향으로 응답하되, 행동은 수업 미복귀 기조를 유지해 달라고 긴급 공지를 보낸 바 있다. 설사 지금 복귀하더라도 그동안 결석이 많아 이번 학기 대규모 유급은 막기 어렵다는 점에서 교육부는 '트리플링' 대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교육부는 전날 각 의대에 4월 30일 기준 대학별 유급 및 제적 대상자 등 학사 운영 전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한 공문을 보냈다.이날 열리는 의대 학장단 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몇몇 대학은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부여하는 내용으로 학칙 개정에 나선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이날 의대 학장단과 만나 앞으로의 계획과 수업 복귀생 보호 방안 등을 논의한다. 또 의대에 한해 예과 결손 인원 전체를 편입생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유급·제적 사태가 현실화하면서, 일부 대학이 편입학 요건 완화를 요청한 데 따른 조치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