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 섭취량 4년새 23% 증가 “혈당스파이크 우려”

3 weeks ago 9

무가당커피-탄산음료 1, 2위 차지
음료 통한 당 섭취량 10대가 최대

서울 시내 대형마트 내 진열된 탄산음료 모습. 2022.04.26 서울=뉴시스

서울 시내 대형마트 내 진열된 탄산음료 모습. 2022.04.26 서울=뉴시스
최근 5년간 커피, 탄산음료 등 하루 음료 섭취량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청소년이 당이 들어간 탄산음료 등을 너무 많이 마시면 비만 등 만성질환으로 이어진다는 우려도 나온다.

9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최근 5년간(2019∼2023년) 우리 국민의 음료 섭취 현황’에 따르면 2023년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74.6g으로 2019년 223.5g에 비해 22.9% 증가했다. 2023년 기준 가장 많이 마신 음료는 무가당 커피(112.1g), 탄산음료(48.9g)였다. 남성이 300g으로 여성(247.2g)보다 많은 음료를 섭취했다.

최근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로 단맛을 낸, 이른바 ‘제로 슈거’ 음료를 선호하다 보니 저칼로리 탄산음료 섭취는 증가했지만, 당이 포함된 탄산음료 섭취는 감소했다. 음료 섭취량의 증가 추세와 달리 음료 당 섭취량은 다소 감소했다.

다만 음료를 마시면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보다 당을 과잉 섭취할 가능성이 높다. 30대가 음료를 가장 많이 마셨지만, 음료를 통한 당 섭취량은 탄산음료를 많이 마시는 10대가 가장 많았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과일 등 혈당을 빨리 높이지 않는 형태의 당을 먹어야 혈당 스파이크(식후 혈당이 급격히 상승했다가 빠르게 감소하는 현상)를 줄일 수 있다. 그러지 않으면 당뇨와 비만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mea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