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공사비 증액 갈등으로 공사 중단까지 겪은 은평구 대조1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하고 1년여 만에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1일 밝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1개 조 2~5명)을 파견해 합의를 지원하는 제도다.
대조1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공사비 3771억원 증액을 요구해왔다. 조합 내분으로 인한 집행부 공석 장기화와 공사비 미지급 등이 겹치며 발생한 공사 중단과 공기 연장 등의 손실 비용 1995억원,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원 등이다.
지난해 1월 공사가 중단되자 서울시는 코디네이터를 현장에 파견했다. 이들은 공사비 증액과 관련해 조합과 시공자의 제출 자료를 검토한 뒤 적절한 조정안과 중재안을 제시했다. 결국 조합과 시공사는 공사비 2566억원 증액에 합의해 지난달 29일 관련 의결을 끝냈다.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지난해에도 총 15개 정비 지역에 파견돼 여러 갈등을 해결했다. 지난해 8월 미아3·안암 2구역, 12월 역촌 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3월 말 대조 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에서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현재도 천호 1구역, 노량진 6구역 등 총 6곳의 정비사업 현장에서 조정·중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같은 여러 갈등 상황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가 적극 나서서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해 신속한 주택공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