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 때 최고 100만원 과태료…유예 종료 앞둔 ‘전월세 신고제’ 6월 정식 시행 가닥

4 week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0년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전월세 신고제가 6월부터 정식 시행될 예정이다.

이 제도는 주택 보증금이 6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넘는 경우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의무화하며, 미신고 시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국토교통부는 계도 기간 종료 후 유예 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며, 신고는 관할 주민센터나 부동산거래신고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국토부, 이달 내 결론
보증금 6000만원·월세 30만원
초과 거래 신고 대상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전월세신고제 관련 홍보문구가 적힌 종이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전월세신고제 관련 홍보문구가 적힌 종이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2020년 문재인 정부 당시 도입한 ‘임대차 3법’ 가운데 하나인 ‘전월세 신고제’가 6월부터 정식 시행될 전망이다.

12일 부동산 업계 등에 따르면 전월세 신고제는 보증금이 6000만원을 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 내용을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다.

기간 내 신고하지 않거나, 허위 신고를 하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 제도는 최근 토론회 등이 열리며 개편 논의에 시동을 건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과 함께 도입됐다. 임대차 2법이 곧바로 시행된 것과 달리 전월세 신고제는 대국민 홍보 등을 이유로 유예 기간을 1년 뒀다.

이후 2021년 6월 1일 자로 전월세 신고제를 시행하면서도 계도 기간을 2년 둬 신고 의무만 부여하고 과태료는 부과하지 않았다. 계도 기간은 1년씩 두 차례 연장돼 다음 달 31일 종료를 앞두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계도 기간 동안 과태료 부과 여부와 관계없이 전월세 신고가 어느 정도 정착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이달 말께 유예기간을 연장할지, 유예를 종료하고 시행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월 전월세 계약 신고를 제때 하지 않아 부과하는 과태료를 최대 10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낮추는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당초 계약금액과 지연기간에 따라 최소 4만원부터 최대 100만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했지만, 최소 2만원부터 최대 30만원으로 조정했다. 과태료 기준이 임차인에게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조치다. 다만 거짓 신고할 경우에는 과태료 100만원을 유지했다.

전월세 계약 신고는 주택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나 부동산거래신고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국토부는 임차인이 주민센터에 확정일자 부여만 신청하고 임대차 거래를 신고하지 않을 시 임대차 신고 대상임을 자동 안내하는 알림톡을 발송하는 체계 등을 올해 상반기 중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