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서울 아파트 임대차
전세 48.9%, 월세는 51.1%
200만원 초과 월세도 190건
전세 사기 피해 증가도 영향
올 들어서만 3천건가량 늘어
올 들어 전세 사기 피해자가 3000명 가까이 늘어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이 전세를 앞질렀다. 10일 우리은행 자산관리(WM)영업전략부는 올해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신고(계약 기준)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세 거래는 1만5865건, 월세 거래가 1만6570건으로 월세 거래가 전세보다 705건 더 많았다. 비율로 보면 전세 48.9%, 월세 51.1%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월세 거래가 많은 지역은 송파구(1567건), 강남구(1234건), 서초구(1098건) 순으로 나타나 강남 3구의 월세 비중이 높았다. 기존 강남권 고가 아파트 월세 수요 외에도 신학기 교육 목적의 월세 임차 수요가 더해지면서 강남권 월세화 현상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강남 3구에선 수백만원의 고가 월세 계약이 많았다. 강남구에선 올해 1월 1일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면적 85㎡가 보증금 1억원, 월세 600만원에 거래됐다. 서초구에선 ‘아크로 리버뷰 신반포’ 전용 78.5㎡가 보증금 10억원에 월세 4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 송파구의 최고 월세는 ‘파크리오’ 전용 144.77㎡로 보증금 1억원에 월세 530만원이었다.
반면 도봉구(145건), 강북구(156건), 종로구(189건) 등은 월세 거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지역 내 전세 선호와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부담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월세를 가격대별로 보면 50만원 이하 거래가 1만3245건(79.9%)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는 해당 월세 아파트의 면적이 작거나 보증금 비율을 높여 월세를 낮추는 일반적인 보증부 월세 거래 유형이기 때문이다. 50만원 초과~100만원 이하는 2456건(14.8%)으로 뒤를 이었고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는 679건으로 4.1% 비율을 차지했다. 200만원 초과~300만원 이하는 134건(0.8%), 300만원 초과 등 고가 월세도 총 56건으로 0.3% 비율을 나타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팀장은 “연내 서울 아파트 입주량이 3만채를 넘길 전망이지만 지난달 말 기준금리 인하와 봄 이사 철에 전세 매물이 감소하고 있는 점, 금융권의 전세 대출 강화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서울 아파트의 월세 비중 증가와 월세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전세 사기가 여전히 줄고 있지 않은 점도 월세 가속화에 영향을 끼친다.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전세 사기 피해자 결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피해자 수는 지난달 19일 기준 총 2만7372명으로 작년 말 국토부 집계보다 3000명 가까이 더 늘었다.
피해자 연령별로는 30대가 1만3350명으로 가장 많았고 피해 규모는 1억원 초과~2억원 이하가 전체의 41.9%를 차지했다. 피해 유형은 다세대(30.5%), 오피스텔(20.9%), 다가구(17.9%) 순으로 많았다. 박 의원은 “전세 사기 특별법의 유효 기간을 늘리는 동시에 간접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피해자 범위를 넓게 해석해 더 많은 피해 구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