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 한 이유 설명했는데 다 잘랐다”…인생을 매장시키는 ‘악마의 편집’ [Book]

7 hours ago 5

문화

“욕 한 이유 설명했는데 다 잘랐다”…인생을 매장시키는 ‘악마의 편집’ [Book]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키비아데스는 가짜뉴스로 인해 정치적 운명이 바뀐 역사적 인물로, 공공의 신상을 훼손한 사건으로 인해 신성모독 혐의를 받으며 망명하게 되었다.

저자는 이를 통해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조작하는 본성을 지적하며, 가짜뉴스의 역사는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현상임을 강조한다.

디지털 시대에는 SNS와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거짓 정보가 더욱 정교하게 퍼지며, 이는 사람들의 믿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고대 아테네 정치인 알키비아데스는 가짜뉴스로 인생의 항로가 바뀐 역사적 인물이었다. 아테네가 스파르타와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벌이던 기원전 415년 무렵, 원정대 출발을 앞두고 아테네인이 신성시하는 헤르메스 신상이 훼손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의 정적들은 “알키비아데스가 신성모독에 연루됐다”는 소문을 퍼뜨렸고 심지어 법정에 기소했다. 정치 생명이 끝장나고 처형까지 예상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알키비아데스는 스파르타로 망명한다.

사진설명

양승목 지음, 김영사 펴냄, 1만3500원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인 저자는 이 사례를 두고 “인간은 자신의 이익이나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지어내는 존재”라고 말한다. 가짜뉴스는 인간의 본성이며, 그 역사는 수천 년을 넘나든다는 의미다.

이는 오늘도 다르지 않다. 디지털 시대엔 ‘거짓 연결’이 더 신손·정교해졌고 근거 없는 믿음은 ‘악마의 편집’을 거쳐 사실처럼 호도된다. 책은 팩트체커라는 말이 언론계에 등장한 때가 최근이 아닌 1920년대라든가, 허위 정보에 반복 노출되면 그것을 믿게 되는 인간 심리 등의 주제를 깊이 들여다본다. “SNS가 고속도로라면 인공지능은 생산 공장이다”라는 경고는 울림이 크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