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상업용 부동산 살아날 것"…투자 의향 사상 최고

1 week ago 1

2025년 한국 투자자 투자 의향 조사 사진=CBRE 코리아

2025년 한국 투자자 투자 의향 조사 사진=CBRE 코리아

올해 국내 상업용 부동산 투자 매입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글로벌 종합 부동산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가 발표한 '2025 한국 투자자 의향 설문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상업용 부동산 투자 매입 의향은 62%를 기록했다. CBRE 코리아에서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년 대비 19%포인트 늘어난 수준이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자자들의 2025년 상업용 부동산 투자 전략과 시장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한국 투자자 61명과 아시아 태평양 내 주요 투자자 468명을 대상으로 매입 및 매각 활동 전망, 해외 투자 동향, ESG 전략 등을 조사했다.

올해 2월 한국은행은 기준 금리를 3%에서 2.75%로 인하했고,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해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올해는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그간 진입 시기를 조율하던 프로젝트들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확대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분석이다.

거래 규모로 살펴보면 2024년 서울 상업용 부동산 거래액은 22조원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5년에는 오피스 45개(약 61만평), 물류 15건(47만평), 호텔 16개(16만평) 등 다수의 거래가 예정돼 있다.

섹터별 선호도 변화를 살펴보면 오피스가 여전히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나 전년 대비 감소했다. 물류센터가 오피스 다음으로 높은 선호도를 기록했으며, 데이터센터, 호텔, 리테일 등 대체 섹터에 대한 선호도도 전년 대비 증가했다.

오피스의 경우 국내 투자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주요 업무 권역 내 코어(Core) 자산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 투자는 코어 및 코어플러스 거래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선매입 및 NPL성 거래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해 실물 거래 활동이 제한적이었다.

데이터센터는 전통적인 자산군인 오피스 및 물류 외에 대체 투자처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호텔의 경우 지난해 투자시장 규모가 1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350% 증가했다.

최수혜 CBRE 코리아 리서치 총괄 상무는 "올해는 기준금리 인하와 대체 섹터의 부상, ESG 전략의 확산 등 복합적인 모멘텀이 작용하면서, 지난해보다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며 "매도자와 매수자 간 기대가격 차이는 여전히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겠지만,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