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연방준비은행 Money Museum의 한가운데에는 투명한 큐브가 전시되고 있음 “100만 달러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면, 더 이상 상상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 직접 볼 수 있다!” 그러나 안내문만으로는 신뢰가 어렵고, 직접 셈을 해보는 자세가 필요함 현장에서 큐브의 뭉치 수를 세어보려 했으나, 큐브가 커서 한눈에 세기 어려움 큐브의 세 변(102, 8, 19개의 현금 다발)별로 계산했을 때 반드시 각 묶음이 100달러 단위라는 점, 색상 등에서 확인 가능 연준의 연 2% 인플레이션 목표 기준으로 계산하면 실제로 100만 달러가 들어있다 해도, 나머지 55만 달러의 '보너스' 현금이 포함되어 있음 내부가 비어 있다면, 외곽 현금 다발만 보이게 만들 수 있음 미국 1달러 화폐의 크기와 비율 상, 정육면체로 100만 달러를 정확히 만들기 어려움 완벽한 큐브는 아니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정직한 구성임 결국 큐브에는 100만 달러일 수도 있고, 더 많거나 혹은 비어 있을 가능성도 있음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100만 달러 큐브’ 의 진실
이 큐브 내부는 1달러 지폐 뭉치들로 가득 채워져 있으며, 안내문에는 100만 달러가 들어 있다고 설명함실제로 돈의 개수 세어보기
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되고, 사진을 확대해서 세어봐도 정확한 개수 파악이 어려움
사진 안의 특정 객체를 클릭하여 셀 수 있는 웹 기반 카운팅 도구가 필요했지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앱이 존재하지 않음
대부분의 기존 소프트웨어는 과학적 이미지 분석용 또는 다른 특수 용도임
직접 간단하게 쓸 수 있는 Dot Counter라는 웹 툴을 개발함. 이미지를 올리고 클릭만 하면 바로 개수 집계 가능함
이 도구를 통해 이 큐브의 실제 현금 개수를 파악할 수 있음큐브 내부 현금 총액 계산
한 묶음에 100달러가 들어있다는 ABA 표준에 따라
실제 금액은 155만 400달러임. 안내된 금액보다 55만 400달러가 더 많음
혹시 묶음 단위가 다르다면 추가적인 의문점이 생김오차 발생 원인 분석
수치 차이의 원인
하지만 이 경우, 큐브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직육면체에 가까워짐인플레이션 가설
$1,550,400가 오늘날 100만 달러 가치로 수렴되는 기간은 약 22년 걸림
즉, 2047년에는 실제로 100만 달러 큐브가 된다는 유머적 언급 포함기술적 해석
이는 마치 버거를 주문했는데 3개가 함께 나오는 것과 비슷한 비유
무료 추가 현금이지만, 안내된 금액과 실제 금액이 일치하지 않음큐브 내부 빈 공간 가능성
이 경우엔 큐브 맨 바깥 1겹만 계산해도 53만 달러를 넘음
3겹 두께의 껍데기로만 채워도 130만 달러가 넘는 액수 구현 가능함
즉, 겉보기에 맞춰 금액 조정이 얼마든지 가능함‘100만 달러 큐브’를 실제로 만들려면
지폐 한 장은 가로 6.14인치, 세로 2.61인치여서, 100장 묶음 두께는 0.43인치임
최대한 큐브에 가깝게 쌓아도
결론
실제 계산 결과, 대부분 155만 달러에 가까운 현금이 들어 있다고 판단됨
Dot Counter 개발을 통해 사진 속 현금 다발을 정확히 셈할 수 있었음
앞으로도 겉으로 보이는 수치 대신 직접 셈과 확인의 중요성 강조
이제 이 큐브의 실제 금액 궁금증은 해결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