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대만에 해외 사업을 총괄하는 헤드쿼터(주요 거점)를 짓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대만의 TSMC와 함께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을 석권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대만계 미국인인 젠슨 황 엔비디아 창업자(사진)의 이번 구상이 현실화하면 대만이 아시아 반도체 인재들의 블랙홀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공상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타이베이시는 엔비디아 본사를 지을 부지를 물색 중이다. 젠슨 황 CEO는 지난 6월 아시아 최대 규모 정보기술(IT) 전시회 ‘컴퓨텍스’ 참석차 대만을 방문해 “향후 5년 내 대만에 대규모 연구개발(R&D)·디자인(설계)센터를 건립해 최소 1000여 명의 엔지니어를 고용하겠다”며 “센터 건립을 위해 대규모 부지를 물색 중”이라고 밝혔다.
AI 프로젝트를 수행할 차세대 R&D 시설로 1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투입된다. 공상시보는 “(R&D센터 외에) 신규 거점은 미국 샌타클래라에 있는 본사 크기에 필적할 정도로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황 CEO는 대만 당국에 3헥타르(3만㎡) 규모 부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엔비디아가 대만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TSMC 등 대만의 반도체 생태계와 긴밀히 협력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별도 공장 없이 반도체를 설계만 하는 엔비디아는 개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여러 칩을 한데 묶은 AI 가속기 생산을 TSMC에 맡기고 있다. 최근 최신형 AI 가속기와 관련한 오류 발생으로 엔비디아와 TSMC 간 불화설이 나오기도 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설계와 제조를 이원화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만을 중심으로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주요 인재를 흡수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만 반도체 생태계에 편입되기 위해 돈을 싸 들고 찾아온 곳은 엔비디아뿐만이 아니다. AMD는 2100억원을 투입해 대만에 아시아 첫 R&D 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세계 최대 차량용 반도체 회사 인피니언도 전기차용 R&D 센터를 대만에 짓는다. 구글 역시 지난 4월 대만에 두 번째 하드웨어 R&D 센터를 개소했다.
전 세계 빅테크의 칩을 도맡아 생산하는 대만은 글로벌 AI 생산 거점으로 거듭나고 있다.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시가총액 빅5 기업의 반도체는 모두 TSMC 공장에서 생산된다. 빅테크들이 일감을 주면서도 “먼저 만들어달라”고 애원하는 이유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