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시장도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트렌드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얼죽재'(얼어 죽어도 재건축 아파트)도 관심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여전히 신축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만 가격이 치솟으면서 진입이 어려워져서다.
13일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서 2021~2024년 서울 아파트 연식 구간별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준공 10년 이하 아파트의 평균 매매 가격은 2021~2024년까지 4년간 연평균 9.1% 상승했다.
이어 정비사업 건축 연한에 해당하는 30년 초과 아파트가 연평균 3.7% 오르며 10년 초과 30년 이하 재고 아파트(3.5%↑)보다 가격 변동 폭이 컸다.
집값 고점기로 꼽히는 2021년보다 올해 집값이 더 올라 부담이 가중되면서 수요가 점차 식고 있다. 2021년 준공 10년 이하 신축 및 준신축 아파트 매매 거래 비중은 22.3%에서 2025년 19.9%로 감소했다.
10년 초과 재고 아파트(10년 초과 30년 이하)와 구축 아파트(30년 초과)의 경우 2022년 64.8%→2023년 72.8%→2024년 76.1%를 기록한 이후 2025년(1~2월) 기준 80.1%로 점차 증가세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신축 공급 부족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가격 상승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다"며 "6월부터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전기차 화재 대응 시설 구축 등의 의무화가 예고되면서 분양가 상승 압력이 더 커져 신축 아파트 매수 진입 장벽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구축 아파트의 경우 최근 준공 30년 초과 아파트들이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구축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며 "'얼죽신' 선호가 계속되지만 공급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입지가 우수한 재건축 아파트 즉, 신축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높은 단지 위주로 자연스레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