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눈높이 맞춘 '말랑통통' 친구들과 한글 함께 배워요"

1 week ago 1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립한글박물관은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이 한글을 보다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한 새로운 캐릭터 ‘말랑통통 마을의 비밀’을 11일 공개했다.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놀이터 캐릭터. 기본 자음 5글자 ‘ㄱ·ㄴ·ㅁ·ㅅ·ㅇ’, 기본 모음 3글자 ‘하늘(·)’, ‘땅(ㅡ)’, ‘사람(ㅣ)’을 바탕으로 캐릭터를 형상화했다.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이번에 선보이는 캐릭터는 한글 창제 원리와 오행(五行) 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기본 자음·모음의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한글은 기본 자음 5글자 ‘ㄱ·ㄴ·ㅁ·ㅅ·ㅇ’, 기본 모음 3글자 ‘하늘(·)’, ‘땅(ㅡ)’, ‘사람(ㅣ)’을 바탕으로 획을 더하거나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진다. 자음과 모음 24글자(자음 14자, 모음 10자)를 조합하면 약 11,172가지 글자 구성이 가능할 만큼 한글은 확장성을 지닌 문자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러한 원리를 반영해 한글이 지닌 확장성과 어린이의 무한한 가능성을 담아 ‘말랑요정’ 캐릭터를 형상화했다. 캐릭터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따뜻하고 친근한 이미지로 디자인됐다. 아이들은 자·모음을 의인화한 요정들이 모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캐릭터 개발은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반다비’를 개발한 매스씨앤지가 맡았다. 국립한글박물관은 ‘말랑통통’ 캐릭터를 활용해 기념품을 제작하거나 증강현실(AR) 등 첨단 기술과 접목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글놀이터 세종관 전시에서 처음으로 캐릭터를 선보일 예정이다.

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장은 “이번 캐릭터 개발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단위 방문객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철학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