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통합돌봄 우수 사례 진천군청 선정
이재철 주무관 7년 밀착업무
집에서 진료·요양·돌봄까지
고령 인구 늘어나는 지역서
장기요양 줄어 年15억 절감
충청북도 진천군청 이재철 주무관(사진)은 7년째 한 업무만 맡고 있다. 바로 내년부터 전국으로 시행이 확대되는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이다. 통상 공무원들이 2~3년에 한 번씩 보직을 바꾸는 것에 비하면 이례적이다. 이 사업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살던 곳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해주거나 보건의료, 요양,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경로당도 잘 다니시던 어르신이 급격히 건강 상태가 나빠지는 때가 낙상이나 급성기 질환으로 입원했다가 퇴원한 후"라며 "보통 퇴원하실 때 완벽히 회복해서 나오는 게 아닌데 이런 분들에게 맞는 돌봄이나 의료 체계가 기존에는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이 주무관은 "이 같은 노인들은 곧 상태가 나빠져 입퇴원을 반복하다 결국 장기요양등급을 받아 병원이나 요양원에 가게 된다"며 "그런 고리를 끊은 것이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진천군청은 지역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한 통합돌봄 사업 모델을 만들었다. 우선 군내 한 곳 있는 종합병원 내에 전담팀을 마련했다. 전담팀에는 간호사들이 배치돼 환자가 입원하는 시점부터 맞춤 돌봄을 진행한다. '퇴원 후에 어떻게 지낼지' '누가 돌볼지' 등을 계획한다. 환자가 퇴원하면 물리치료사나 사회복지사가 해당 환자의 집을 방문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주무관은 "진천군의 장기요양등급자 인정 비율이 계속 줄고 있는데 이는 통합지원 사업의 효과를 일부 보여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국 장기요양등급자 인정 비율은 2022년 1월 74.5%에서 지난해 11월 78.8%로 늘어난 반면, 진천군은 같은 기간 75.1%에서 74.5%까지 줄었다. 이 덕분에 아낀 장기요양급여는 연간 15억55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주무관은 사업을 구축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으로 돌봄과 보건의료 서비스의 융합을 꼽았다. 그는 "군청 소속 사회복지직과 보건소 공무원들은 보는 시각 자체가 다르다"며 "환자가 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때도 같은 환자를 보고 복지직 공무원과 보건직 공무원들의 판단이 다른 경우가 종종 있다"며 "갈등을 겪더라도 계속 조율하면서 두 조직이 융화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지역 내 의료시설이 동참하도록 설득하는 것도 중요하다. 진천군 관계자는 "사업의 좋은 취지에 모든 사람이 공감했기 때문에 추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강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