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강화했다는데 왜…설계 자체에 위험 안고있는 SPC 공장 [기자24]

1 week ago 7

기자24시

안전관리 강화했다는데 왜…설계 자체에 위험 안고있는 SPC 공장 [기자2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이후, 안전교육과 점검이 실시되었으나 사고 발생 구조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 고위험 설비가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장 구조와 시스템 전반의 리빌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SPC그룹은 AI 기술을 활용한 공정 개선을 검토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위험 요소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기계. [사진 출처 = 연합뉴스]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기계.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경기도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경기도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경기도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경기도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공장은 그대로 두고 관리만 강화한다.’ SPC삼립 시화공장 사망 사고 이후 맴돈 생각이다. 안전교육과 점검, 그에 맞는 조치는 이뤄져도 사고의 구조인 공장이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사고는 지난달 높이 3.5m에 달하는 스파이럴 냉각 컨베이어에서 일어났다. 갓 구운 빵을 식히기 위해 구조물이 계속 회전하는 이 기계는 설계 자체가 위험을 안고 있다. SPC그룹 전체 공장에 47대가 깔려 있어, 사고가 언제든 재현될 수 있다.

자구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사고 직후 SPC 노사안전협의체는 모든 공장 24곳에 대한 합동안전점검을 벌였고, 한 달도 안 돼 568건이나 되는 안전 미흡 사항을 확인했다.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조사 결과로 비교적 객관적이다. 이 중 60%가량인 341건은 즉시 개선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윤리·준법 감시를 맡은 컴플라이언스위원회도 후속 권고안을 제시한다고 했다. 다만 이렇게 쉽게 해소될 문제를 그동안 왜 하지 않았는지란 말이 대번 나왔다. 위험의 구조를 바꿨는지란 질문도 뒤쫓아 나왔다.

문제가 반복되면 구조를 들여다봐야 한다. 제빵 산업이 수작업에서 대량생산 체계로 바뀌면서 공장은 설비 노후와 부족한 안전시설, 매끄럽지 못한 공정 자동화 등의 문제를 안게 됐다. 안전교육 강화나 사고 방지 가림막 설치 등의 조치로는 부족하다.

관리를 강화할 게 아니라 공장 자체를 갈아엎을 때다. 설비와 배치, 공정 동선, 점검 체계까지 전면 ‘리빌딩’이 필요하다. SPC그룹은 공장 리빌딩에 인공지능(AI)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미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선 화재, 침수, 정전 등 각종 재난·재해를 막기 위한 AI 폐쇄회로(CC)TV 등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달 직접 방문한 삼양식품 새 공장 밀양2공장 역시 AI 기반 설비 모니터링과 자율 로봇 물류 체계로 작업자의 물리적 위험을 줄이고, 사고 전조현상에 실시간 대응하고 있다.

SPC그룹은 아이스크림 브랜드 배스킨라빈스를 운영하며 맞춤형 서비스부터 신메뉴 개발까지 AI의 활용 범위를 넓혀온 회사다. 이젠 이 같은 AI 기술을 제빵 공정에 적용해 봤으면 한다.

사진설명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