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민 "낙농·가공·관광 콘텐츠 확장"

3 weeks ago 6

심민 "낙농·가공·관광 콘텐츠 확장"

“임실치즈를 기반으로 사업을 발전시켜 체험형 관광도시로 도약하겠습니다.”

심민 임실군수(사진)는 “치즈를 매개로 한 지역 브랜딩이 성공 사례로 자리잡도록 임실만의 스토리와 체험 콘텐츠를 지속 확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임실치즈 산업의 기반에는 반세기 전 한 외국인의 선한 의지가 있었다. 심 군수는 “임실군의 치즈 산업은 2019년 선종하신 지정환 신부님께서 1960년대 후반 산양 두 마리로 싹을 틔운 사업”이라며 “해당 산업은 50년이 지난 현재 연간 370억원의 소득을 창출하는 지역 활력사업으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임실군은 철저한 품질관리와 마케팅을 통해 임실치즈를 ‘임실N치즈’라는 브랜드로 키워냈다. 현재는 임실치즈농협을 비롯한 12곳의 유가공 업체와 50여 곳의 낙농가, 4000여 두의 젖소가 1등급 원유를 생산하며 산업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군은 유통마케팅을 담당하는 ‘임실엔치즈클러스터’와 품질관리를 위한 ‘임실치즈&식품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심 군수는 “임실N치즈는 맛과 품질, 위생 측면에서 전국 소비자들로부터 안전한 먹거리로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고품질 치즈 생산을 위해 저지종 젖소를 도입해 프리미엄 유제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지유제품을 임실N치즈의 특화상품으로 개발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건강한 먹거리인 무가당 요거트 생산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광과 연계한 산업 전략도 함께 추진 중이다. 심 군수는 “매년 10월 열리는 임실N치즈축제에는 지난해 58만여명이 방문했고, 연중 운영되는 임실치즈테마파크는 연간 300만명 이상이 찾는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며 “치즈 산업과 관광산업의 융합을 통해 임실을 세계적인 명품 관광도시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심 군수는 “낙농-가공-관광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6차 산업 구조를 더욱 고도화해 농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