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도시 표방한 광주’…현실은 인프라 태부족

3 weeks ago 5

사회

‘실증도시 표방한 광주’…현실은 인프라 태부족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주의 기업들이 실증 환경과 인재 확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증 자료가 투자 유치와 기업 신뢰성에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이다.

광주는 최근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을 통해 실증 중심의 창업 생태계를 홍보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실증 환경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증 환경을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외에도 가전 및 문화콘텐츠 분야로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고, 지속적인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창업 페스타서 실증도시 선언했지만
실제 실증 성과 10건…수요 못미쳐
인재부족·실증분야 한정 기업 불만
“AI 시민 체감 서비스 개발해야”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021년 북구 첨단3지구 내 AI집적단지 부지에서 열린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착공식’에 참석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병훈 국회의원, 정우진 (주)NHN 대표 등 내빈들과 공사 시작을 알리는 터치버튼을 누르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021년 북구 첨단3지구 내 AI집적단지 부지에서 열린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착공식’에 참석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병훈 국회의원, 정우진 (주)NHN 대표 등 내빈들과 공사 시작을 알리는 터치버튼을 누르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의 기업들이 실증 환경과 인재 확보 부족으로 인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증 자료는 투자자와 파트너사를 설득할 수 있는 핵심 근거로, 기업 신뢰성을 높이고 투자 유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역 내 실증 인프라가 기업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달 28~29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를 주제로 실증 중심 창업 행사를 열었다. 페스티벌은 ‘실증’을 새롭게 시도해 눈길을 끌었다. ‘실증도시 광주’ 비전 제시와 창업생태계 동반성장을 다짐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광주시 전역 실증제품(25개)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실증빌리지’ 등을 운영했다.

시는 ‘실증빌리지’에 7개 참가 기업이 12개 수요기관과 연계하는 성과를 냈다고 자평했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실증 환경이 수요에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광주시는 지난 2020년부터 445억8000만 원을 투입해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3개 분야에서 77종의 실증 장비를 도입했다. 하지만 광주시의 연도별 실증 수요조사에 따르면 △2021년 86건 △2022년 62건 △2023년 58건의 실증 요구가 있었으나, 실제 실증은 △2021년 8건 △2022년 9건 △2023년 11건에 그쳤다. 광주시는 목표치였던 △2021년 6건 △2022년 9건 △2023년 9건을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지만, 기업들이 체감하는 실증 환경의 부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지역 기업들은 우수 인재 확보가 어렵고 실증 환경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AI 산업의 특성상 고급 인재와 충분한 실증 여건이 필수적이지만, 현재의 인프라는 기업 성장에 제약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헬스케어 분야 기업 A대표는 “기업은 실증 실적이 곧 검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다. 제품을 판매할 때 상대 기업에서 실증여부를 꼭 물어본다”며 “광주시에서 실증도시를 표방하는 만큼 환경을 보다 넓게 조성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주의 실증 환경이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등 특정 분야에 한정된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이를 가전, 문화콘텐츠 등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벤처기업, 투자자, 대학, 연구기관 간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광주역 창업밸리’와 같은 통합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광주연구원의 한경록 첨단산업도시연구실장은 “AI 집적단지 1단계에서 인프라 조성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부족한 부분이 명확하다”며 “실증환경은 지역 내 광, 가전, 문화콘텐츠산업 등으로 확대해야 된다. 또한 AI 일상화를 위한 대시민 생활 체감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실증 과정이 1년 이상 소요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실적 건수만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기업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광주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관계자는 광주시 관계자는 “한 기업당 실증기간이 1년씩 걸리는 등 시간이 오래 걸려 단순히 실적 건수만 놓고 보면 많지 않을 수 있다”며 “기업들에게 실증 단계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광주시도 인프라를 조성해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의 결정에 따라서 달라지는 정책이 많다. 시에서 담당자가 자주 바껴 업무가 원활히 수행되는데 한계가 있다 ”라며 “인력채용도 원활하지 않다. 실증 장비를 새로 들여와도 관리할 직원이 있어야 되는데, 인력이 없다보니 그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