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때
무노조·무파업 약속하고
지자체 지원까지 받았지만
임금 7%인상 요구하며 파업
설 연휴까지 생산차질 우려
국내 첫 노사 상생 일자리 모델로 주목받았던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조가 전격 파업에 돌입했다. 무노조·무파업을 내세워 지방자치단체 지원까지 받는 기업이 출범 5년 만에 약속을 깼다.
14일 전국금속노동조합 GGM지회는 “이날 낮 12시 20분부터 오후 4시 20분까지 지회 소속 조합원 일부가 부분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GGM 노조원 수는 228명으로 전체 근로자 668명의 3분의 1가량이다. 이 중 부분파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차체·생산·품질·시설관리부서 등의 조합원 70명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이번 파업을 시작으로 조합원 228명이 한 번씩 파업에 참여하는 부서별 순환 부분파업을 설 연휴 전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회사 측은 “조합원들의 빈자리에는 일반 사무직 직원 등 비조합원들이 투입돼 공정이 멈추거나 하는 생산 차질은 빚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5월 금속노조에 가입한 GGM 노조는 사측과 벌이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결렬로 파업을 결정했다. 월급여의 7%인 15만9200원의 기본급 인상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노사 상생협의회가 결정한 올해 초 물가 상승률 3.6%를 이미 적용해 추가 인상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정당한 노조 활동을 보장하고, 실질 협의를 위한 회사안을 제시한다면 언제든지 교섭에 임할 예정”이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노조는 조합원이 더 참여하는 파업으로 확대해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GGM은 문재인 정권 시절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기 활성을 목표로 2019년 출범한 회사다.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평균 임금을 동종업계 절반 수준으로 받는 대신 광주광역시에서 주거·복지 등 사회적 임금을 별도로 지원받는다. 출범 당시 GGM은 노조가 없는 대신 경영자와 사원 동수로 구성된 상생협의회가 생산량 등 근로 조건을 논의하기로 하는 협의서를 만들었다. 또 누적 생산 35만대가 될 때까지 현재의 임금과 복지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사실상 당분간 무노조·무파업을 유지하자고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GGM 일부 노동자들은 지난해 1월 노조를 조직했고 금속노조에 가입했다. 이들은 “협의서에는 노조를 만들지 말라는 문구가 없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노조가 생겼으니 상생협의회는 필요 없다”며 기존 상생협의회를 무력화시키려 한다.
노조는 사측에 “현장직 1년차 연봉이 2940만원에 불과하다”며 월급여의 7%인 15만9200원의 기본급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노조가 말한 수치는 특근수당, 격려금 등을 모두 제한 금액”이라며 “1년차의 평균 연봉은 3840만원 수준이며 광주시가 지원하는 사회적 지원까지 포함하면 4210만원으로 늘어난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 광주지역 재계 인사는 “협의서가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해서 대외적으로 약속한 내용을 이렇게 쉽게 깨트린다면 앞으로 누가 광주를 믿고 투자하겠냐”며 안타까워했다.
김동은·광주 송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