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 전세사기'에 1200명 피눈물 등기부만 믿다가 눈뜨고 당했다

5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신축 오피스텔에 전세로 들어간 이 모씨는 신탁회사로부터 집을 비우라는 내용증명을 받았으며, 이는 신탁 전세사기와 관련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전세사기특별법이 시행된 지 2년이 다 되어 가지만 여전히 신탁 전세사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신탁사와의 동의 없이 계약이 체결되는 피해를 입고 있다.

새로운 전세 계약은 다음달 1일부터 전세사기특별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며, 이는 피해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신탁사에 소유권 넘기고도
임차인 속인채 전세계약
서울 177건…피해액 156억
계약전 신탁원부 확인해야

지난해 말 서울 한 신축 오피스텔에 전세로 들어간 이 모씨(32)는 올해 초 한 신탁회사에서 내용증명을 받았다. 한 달 안에 집을 비우지 않으면 부동산 인도명령과 명도소송을 내겠다는 내용이었다. 알고 보니 이씨뿐만 아니라 해당 오피스텔에 입주한 다른 세입자도 같은 내용증명을 받았다.

전세사기특별법이 시행된 지 2년이 다가오지만 아직도 여러 유형의 전세사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 중 단기임대 못지않게 악질적인 형태로 평가받는 게 바로 '신탁 전세사기'다.

빌라나 오피스텔을 신축하면서 자금이 모자란 건물주는 은행 대출을 위해 부동산을 신탁회사에 넘긴다. 이것을 담보로 수익권증서를 받아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이다. 이때 임대인은 신탁사의 동의를 얻어야만 전세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데 이를 속인 채 세입자와 계약을 한 뒤 그 보증금으로 은행 빚을 탕감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명백한 사기다.

임대인이 대출금을 다 갚지 못한 경우 금융사는 부동산을 매각해서라도 대출금을 회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신탁사는 부동산 소유권을 들이대며 세입자에게 퇴거를 명령할 수 있다. 전세 계약 과정에서 신탁사의 동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임차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으로 보호받을 수 없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세사기특별법이 적용된 2023년 6월부터 올해 4월 말까지 전체 전세사기 인정 건수 2만9540건 가운데 신탁 전세사기는 총 1203건에 달한다. 지난해 하반기까지 서울로 범위를 좁히면 177건에 피해액은 156억원을 넘는다.

피해자 이씨는 "부동산(공인중개사)에서도 신탁과 관련해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았고 문제가 없는 집이라고 해 전세 계약을 맺었는데 당장 집에서 쫓겨나게 돼 막막하다"고 전했다. 이씨 사례는 임대인이 공인중개사와도 짜고 벌인 사기에 해당한다.

세입자 입장에서 피해를 막으려면 등기부등본과 함께 신탁원부를 확인하는 길뿐이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를 통하면 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계약 전 등기부등본의 '갑구'에 부동산에 신탁등기가 돼 있다면 신탁원부를 발급받아 전세 계약 체결에 수탁자(신탁사) 동의가 필요한지 확인해야 한다"며 "이 경우 계약 체결 때 임대인에게 동의서를 보여달라고 꼭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약 이후라도 신탁회사에서 동의서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신종 전세사기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다음달 1일부터 새로 맺는 전세 계약의 경우 더 이상 전세사기특별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최근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법 유효기간이 올해 5월 31일에서 2027년 5월 31일로 2년 연장됐지만 올해 6월 1일부터 최초 계약하는 사례는 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전세사기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측은 "사기는 끊임없이 벌어지는데 정부가 유효기간은 2년 연장하면서 신규 발생 피해 사례는 더 이상 접수하지 않는 셈"이라며 "애초 전세사기특별법을 제정할 당시 6개월마다 보완 입법을 하겠다고 해놓고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은 사항"이라고 비판했다.

[서진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