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도, 실적도 걱정"…美 관세에 수출기업들 '전전긍긍'

4 hours ago 3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수출기업들이 올해 미국 관세 영향에 따라 실적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6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가운데 수출 기업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경협에 따르면 응답 기업 150개사는 미국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올해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4.9%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8.3%,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 등의 순으로 수출액 감소를 전망했다.

반면 선박 업종은 10%, 의료·바이오헬스 업종은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국내 수출 기업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6.3% 감소가 전망된다. 응답 기업 가운데 81.3%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한국 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 기업엔 긍정적'이란 응답은 14.7%를 나타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를 묻는 항목엔 24.9%가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를 꼽았다. 이어 '글로벌 경기 악화' 24%, '미국 수출 감소' 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 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 10.5% 순이었다.

실무적 애로 사항으로는 53.4%가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을 지목했다. 미국 통관 절차 정보 관련은 21.3%, 원산지 판정 기준 정보 관련은 13.3%를 차지했다.

기업 대응 방안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 26.9%, 글로벌 생산 구조 재조정 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 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 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 강화 12.3%, 투자 연기·축소 7.6%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 대응 방안으로는 44.6% 기업이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를 주문했다.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을 희망하는 곳은 13.6%로 나타났다. 13.1%는 면세 품목 최대화를 꼽았다.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은 9.4%를 차지했다.

정부가 원활한 관세 협상을 위해 추진해야 할 방안으로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 방안 제시(12.5%), 미국 제품 수입 확대(8.9%) 등을 제시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