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금 깎아가며 배당금을 받는다’ ‘상승장엔 수익률이 꺾인다’….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를 둘러싼 투자자들의 대표적인 우려다. 지난해 국내 최초로 순자산 1조원을 돌파한 상품이 등장하는 등 관심도가 높아졌지만, 커버드콜 ETF를 어려워하는 개미들은 여전히 많다.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경쟁적으로 상품을 쏟아내며 장단점을 따지는 데 힘겨움을 느끼는 투자자도 부쩍 늘었다. 하지만 커버드콜 ETF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면 월배당과 수익률을 살뜰히 챙길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상품들이 ‘2세대’에 접어들며 전략적인 활용 선택지도 늘고 있다는 평가다.
19배 커진 커버드콜 몸값
최근 1년은 커버드콜 ETF의 부흥기로 요약된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커버드콜 ETF 35개의 합산 순자산총액은 7조1001억원이다. 전년 동기 7개에 불과했던 상품 수는 28개가, 순자산총액은 3755억원에서 19배가 늘었다. 이 기간 개인 투자자 주식형 ETF 순매수 순위 10위권에도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등 2개 상품이 이름을 올렸다. 각각 4362억원, 3845억원어치가 순매수돼 7위와 9위에 올랐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6위·5604억원), ‘ACE 미국S&P500’(8위·4268억원) 등 유명 상품군과 엇비슷한 규모다. 작년 10월엔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처럼 순자산이 1조원을 넘어선 커버드콜 ETF도 등장했다.
커버드콜 ETF는 진화를 거듭하며 투자자들 눈길을 끌어왔다. 초창기 커버드콜 ETF 자산군은 코스피200 등 국내 기반이었다. 전략도 주식, 채권 등 기초자산을 사고 동시에 그 자산을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판다는 ‘기본’에 충실했다. 특정 기업의 1주를 1만원에 사고, 이 주식을 한 달 뒤 1만5000원에 팔 권리(콜옵션)를 1000원이라고 가정해보자. 만약 한 달이 지나 주가가 2만원이 되어도 커버드콜 ETF는 주식을 1만5000원에 팔아야 한다. 차액 5000원과 콜옵선 매도를 통한 1000원의 이득을 본다. 반대로 주가가 5000원으로 떨어지면 콜옵션 매도로 1000원을 제한 4000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주가 하락 시엔 일부 손해를 방어할 수 있고 안정적인 분배금(콜옵션 프리미엄)을 줄 수 있지만, 상승에 따른 이익은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2세대로 분류되는 커버드콜 ETF들은 여기서 시황에 따라 콜옵션의 행사가를 조정하거나, 매도 비중을 조정하는 전략을 덧댔다. 자산군도 대부분 미국이다. 목표하는 분배율을 채우고 주가 상승 수혜도 더 누를 수 있다.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같은 상품이 대표적이다. 이 상품의 최근 1년 수익률은 42%로 전체 커버드콜 ETF 중 가장 높았다.
年 분배 ‘15% 타겟’ 주의보
달마다 분배금도 주고, 주가 상승 수혜도 누린다면 단점이 없다는 착각이 든다. 하지만 이런 커버드콜 ETF도 취약한 영역은 있다. 목표로 하는 분배율이 높다면 장기 투자할수록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운용사 간 경쟁이 확대하며 목표 분배금이 연 10%를 훌쩍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기초가 되는 지수의 수익률이 이를 받쳐주지 못하면서 생겨난 현상이다. 현재 이 같은 분배금 관련 수치는 금융감독원의 제재에 따라 상품명에 빠져 스쳐 지나가기 쉽다.
실제로 가장 보편화한 기초자산인 미 S&P500 토탈리턴(TR) 지수를 기반으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커버드콜 전략을 시뮬레이션하면 결과가 극명히 드러난다. 연 10%, 15%, 20% 등 세 가지 목표 분배율을 정하고 2010년 1만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하자. 15년 뒤 ETF의 원금은 각각 1만5334원, 7186원, 3357원이 된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커버드콜 전략은 기본적으로 상방이 막혀 시장지수를 장기적으로 이기기 어렵다”며 “결국 원본 자산의 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중요한데, 분배율을 높게 설정할수록 옵션 비중이 높아져 원금이 감소하는 역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일본에서 이런 내용이 문제시돼 분배금 출처를 강화하는 규제가 도입된 사례도 있다.
커버드콜 ETF 대부분이 미국 국채나 지수, 배당·성장주를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만큼 세금 문제도 간과하면 안 된다. 이 같은 커버드콜 ETF들은 국내 시장에 상장돼 있지만 분배금에 대한 배당소득세(15.4%)를 물게 된다. 국내 자산에 기반한 커버드콜 ETF는 국내 파생시장에서 거래된 것으로 비과세 대상이다. 하지만 분배금의 재원에 국내 주식 배당금 등 과세 대상 재원을 활용했을 경우 일부 세금이 부과된다. 이는 과세 표준액 형태로 대부분 운용사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이시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