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는 탄소중립 시대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적 해결책입니다.”
손병복 울진군수(사진)는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중심에는 수소가 있다”며 “울진의 풍부한 원자력 전기를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은 국가 에너지 자립과 안보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진군은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하면 총 10기의 대형 원전을 보유하게 되는 세계 최대 원전 밀집 지역이다. 에너지 인프라를 기반으로, 울진은 원자력 전기를 활용한 청정수소 대량 생산에 최적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2023년 3월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고, 2024년 6월 지방권 최초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확정받으며 사업 속도가 붙었다.
국가산단은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일원 152만㎡(약 46만 평) 부지에 총사업비 약 4,000억원 규모로 조성되며,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울진군은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제도적·물리적 여건 개선과 원자력의 열을 활용한 차세대 수소 생산기술 확보 등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소 기반 도시 인프라 구축도 본격화된다. 울진군은 2024년 6월 국토교통부 제3기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총 400억 원 규모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이를 통해 수소 충전소 보급, 수소 모빌리티 운영 등 주거와 교통 중심의 친환경 도시 구현에 나설 계획이다.
울진군은 이번 국가산단 조성이 단순한 산업 인프라 구축을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수소·에너지 관련 신산업 유치와 교육·연구기관 설립, 정주여건 개선 등이 병행되면 청년 인구 유입과 지방소멸 위기 극복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이란 전망이다.
손 군수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로 인해 탄소 배출 산업에는 막대한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며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이 요구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발맞춰,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해법은 원자력 기반 청정수소”라고 말했다. 또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는 국가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