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美관세 리스크 완전 해소...릴리 공장 4600억에 인수

1 hour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셀트리온이 일라이 릴리의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약 4600억원에 인수하며 미국 내 관세 리스크를 해소했다.

인수 후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고, 운영비 절감이 예상되며, 현지 인력의 완전 고용도 이뤄질 예정이다.

서정진 회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R&D 및 생산 자동화 투자 계획도 밝혔으며, 올해와 내년의 EBITDA 증가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증설까지 총 1조4000억원 투자
인공지능 기술 투자 의지도 밝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공시 직후 진행된 온라인 간담회에서 “(증설까지)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은 한국에 새로운 공장을 짓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라고 강조했다. [매경DB]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공시 직후 진행된 온라인 간담회에서 “(증설까지)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은 한국에 새로운 공장을 짓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라고 강조했다. [매경DB]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의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맺으며 미국발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했다. 인수 금액은 약 4600억원 규모로, 향후 증설까지 총 1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0일 자사 미국법인을 통해 일라이 릴리의 자회사인 임클론시스템즈홀딩스로부터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인수 금액은 3억3000만달러(약 4600억원)다.

여기에 운영비 등을 포함한 총 7000억원 규모의 초기 투자금액이 셀트리온USA를 통해 유상증자 방식으로 투입된다. 이번 본계약 체결은 지난 7월 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두 달여 만에 빠르게 이뤄졌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공시 직후 진행된 온라인 간담회에서 “(증설까지)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은 한국에 새로운 공장을 짓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라면서 “관세 리스크 해소, 시설 확보, 인력 확보, 물류비 등으로 약 1조5000억원의 절감 효과가 예상되는 것은 물론, 신규 공장 구축 시 소요되는 6년 이상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브랜치버그 공장은 약 14만8760㎡(4만5000평)의 대규모 캠퍼스다. 생산시설과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이 갖춰져 있다. 약 3만6363㎡(1만1000평)의 유휴 부지 확장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증설까지 완료되면 인천 송도 2공장의 1.5배에 달하는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번 계약에는 릴리와의 위탁개발생산(CMO) 계약도 포함됐다. 공장 시설의 절반 가량은 기존대로 릴리의 제품을 생산해주는 내용이다. 이에 따른 매출 확대와 투자금 조기 회수도 기대된다. 내년 말부터는 셀트리온의 자체 제품과 릴리의 CMO 제품이 병행 생산될 예정이다.

서 회장은 “추가 투자 이후 생산능력을 키우는 데 3년가량 소요될 것으로 본다”며 “해당 시설이 완전가동될 경우 미국에서 CMO를 통해 생산하는 것과 비교해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인력의 완전 고용 승계도 이뤄진다. 인력 공백 없이 공장을 가동하면서 운영 안정성과 생산성을 이어 갈 수 있게 됐다.

다만 이번 인수로 올해 초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법인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의 출범과 함께 밝힌 국내 공장 증설 계획은 잠정보류 상황이 됐다. 서 회장은 “국내 3개 공장과 이번에 인수하는 공장이 이미 최대로 가동 중”이라며 “국내 또는 미국에 공장을 추가로 지어야할지 여부는 관세 문제가 정리되는대로 연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올해 사업계획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셀트리온의 장점은 에비따(상각전영업이익, EBITDA)가 높다는 점”이라며 “올해 1조7000억원, 내년에는 3조원 이상으로 예상돼 투자에 필요한 재원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그

러면서 “내년 에비따의 3분의 1은 주주환원에, 3분의 1을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현금 유보 또는 시설 투자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서 회장은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투자 의지도 밝혔다. 그는 “AI 플랫폼을 활용한 의약품 연구개발(R&D)과 임상 개발로 패러다임이 바뀔 필요가 있다”며 “공장에도 AI 로봇 시스템을 적용해 자동화율을 높여야 하는 만큼 관련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