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통팔달 SOC 구축 '탄력'…전남 교통지도 확 바뀐다

3 weeks ago 2

광주광역시와 전남 완도를 잇는 광주~완도 고속도로 공사 현장. /전라남도 제공

광주광역시와 전남 완도를 잇는 광주~완도 고속도로 공사 현장. /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로 지역 발전의 전환점을 맞았다. 고속도로와 철도, 연륙·연도교 등 전방위적으로 교통 인프라를 늘려가며 산업·관광·정주 여건을 획기적으로 바꿔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14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도는 민선 7·8기 ‘교통기본권 확보’를 핵심 과제로 삼고,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에 집중해 왔다. 철도 분야에서는 2003년 착공한 보성~목포 임성리 구간이 올 하반기 개통을 앞두고 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철도 사각지대이던 영암·해남·강진·장흥 등 전남 서남권 주민의 이동권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올 하반기 착공이 목표인 경전선 광주 송정~순천 구간은 완공 시 목포~부산 간 이동 시간을 6시간33분에서 2시간24분으로 4시간가량 단축할 수 있다.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은 2026년 완공 예정이다. 전라선 고속화, 광주~나주 광역철도 등 주요 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통과를 앞뒀다.

도로망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강진~완도 고속도로는 지난해 예타를 통과했으며 광주~강진 구간은 2026년 완공 예정이다. 전 구간이 뚫리면 광주에서 완도까지 차량으로 1시간10분이면 갈 수 있다.

남해안 신성장 관광벨트인 ‘남해안 선샤인웨이’ 구축도 탄력받고 있다. 전라남도는 1004대교(2019년), 여수고흥 연륙교(2020년), 임자대교(2021년), 추포대교(2022년)에 이어 여수~남해 해저터널, 신안 압해~화원 교량 등 8개 구간에서 연륙·연도교 건설을 추진 중이다.

전라남도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결정되는 올해 총 33건, 52조1000억원 규모의 SOC 사업을 국가계획에 반영하겠다며 총력 태세에 나섰다.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한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서 전라남도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3조3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반영한 바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고속도로와 철도, 해상교통이 맞물리는 광역교통망이 조성되면 전남은 전국 2시간대 철도와 도내 1시간 생활권 고속도로를 갖춘 교통 중심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무안=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