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강남 한강벨트 눈치싸움에…15억초과 아파트 거래 다시 꿈틀

5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9월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는 비강남권 한강벨트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 중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21.1%로 증가했으며, 특히 30억원 이하의 거래 비중이 크게 확대되었다.

규제지역으로 묶일 가능성이 있는 마포·성동구에서 실거주 목적의 매수 움직임도 증가하면서, 정부는 추가적인 규제 지역 확대를 시사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9월 고가아파트 거래비중 한달새 4%P 쑥
토허구역 지정 우려에 마포·성동구 등 인기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다시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사진 출처=연합뉴스]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다시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사진 출처=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이후 줄었던 서울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지난 9월 이후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와 용산구에 이어 마포·성동구 등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에 비강남권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15억원이 넘는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이었다. 이 비중은 전월(17.0%)보다 4%포인트 이상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감소했던 서울 15억원 이상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 6월 28.2%였던 이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까지 떨어졌다.

15억원이 넘는 아파트 중에서도 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큰 폭으로 뛰었다. 이 비중은 지난 8월 14.6%에서 지난 9월 19.4%로 5%포인트 가량 늘었다. 이 가격대의 아파트가 몰려 있는 마포·성동·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 수요가 쏠린 영향이다. 이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묶이기 전에 미리 사두려는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잇단 수요억제책에도 한강벨트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꺾이지 않자, 정부는 토허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외 다른 지역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토허구역의 아파트를 사면 2년 간 실거주 의무가 생겨 갭투자가 막힌다.

마포·성동구 등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묶이기 전 실거주를 목적으로 아파트를 사려는 움직임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비규제지역의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인데 규제지역의 경우 이 비율이 40%까지 줄어든다. 아파트를 살 때 대출을 받기가 더 어려워지는 셈이다.

한편 9억~15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 비중은 지난 6월 34.5%에서 7월 29.1%로 줄었지만, 8월 32.2%로 늘었고 9월엔 36.3%까지 높아졌다.

다만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 6월 37.3%였던 이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지난 8월 50.7%까지 늘었다가, 9월 42.6%로 떨어졌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