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고가아파트 거래비중 한달새 4%P 쑥
토허구역 지정 우려에 마포·성동구 등 인기
6·27 대출 규제 이후 줄었던 서울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지난 9월 이후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와 용산구에 이어 마포·성동구 등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에 비강남권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15억원이 넘는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이었다. 이 비중은 전월(17.0%)보다 4%포인트 이상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감소했던 서울 15억원 이상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 6월 28.2%였던 이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까지 떨어졌다.
15억원이 넘는 아파트 중에서도 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큰 폭으로 뛰었다. 이 비중은 지난 8월 14.6%에서 지난 9월 19.4%로 5%포인트 가량 늘었다. 이 가격대의 아파트가 몰려 있는 마포·성동·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 수요가 쏠린 영향이다. 이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묶이기 전에 미리 사두려는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잇단 수요억제책에도 한강벨트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꺾이지 않자, 정부는 토허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외 다른 지역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토허구역의 아파트를 사면 2년 간 실거주 의무가 생겨 갭투자가 막힌다.
마포·성동구 등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묶이기 전 실거주를 목적으로 아파트를 사려는 움직임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비규제지역의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인데 규제지역의 경우 이 비율이 40%까지 줄어든다. 아파트를 살 때 대출을 받기가 더 어려워지는 셈이다.
한편 9억~15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 비중은 지난 6월 34.5%에서 7월 29.1%로 줄었지만, 8월 32.2%로 늘었고 9월엔 36.3%까지 높아졌다.
다만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 6월 37.3%였던 이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지난 8월 50.7%까지 늘었다가, 9월 42.6%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