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폐수 방류 의혹…정부 "문제없지만 대책 협의중"

3 days ago 2

북한 평산 우라늄 농축시설 위성사진   / 사진=연합뉴스

북한 평산 우라늄 농축시설 위성사진 / 사진=연합뉴스

북한 함경도 평산군 우라늄 정련 시설에서 방사성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를 하천에 무단 방류하고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핵 폐수가 예성강·임진강을 거쳐 한강 하구를 통해 우리 강화도와 서해 수역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현재까지 북한이 폐수를 무단 방류하는 정황을 파악하지 못했고, 한강 하구와 서해에서 오염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직까지 방사선 오염물질 검출 無

29일 SNS와 유튜브 등에선 북한의 핵폐수 방류 의혹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이 같은 의혹은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외 북한 전문 매체의 위성사진 분석을 폐수 누출 의혹이 불거졌다. 최근엔 당시와 달리 침전지가 포화 된 탓에 북한이 배수로를 건설해 의도적으로 핵폐수를 방류하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 등이 주장했다.

북한의 핵 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지난 27일 통일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북한 해당 지역에서 그와 같은 특이 동향을 포착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보도를 부인했다. 환경 관련 부처들도 오염 우려 지역에서 지금까지는 방사성 물질이나 독성 화학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하천 수질을 검사하는 환경부 관계자는 "상반기에 실시한 하천 방사선 검사에선 별다른게 없었다"고 밝혔다. 근해 방사능 오염을 모니터링하는 해양수산부 관계자 역시 "지금까지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전문가들 역시 북한이 방류한 폐수가 오염시켰을 개연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김기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요오드나 방사성세슘(세슘137), 삼중수소 등 원전에서 나오는 원소가 주 모니터링 대상이긴 하나, 방사선 자체를 측정하기 때문에 우라늄 등 어떤 종류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내려왔다면 검출됐을 것"이라며 "전국 곳곳에서 생각보다 철저하게 방사선을 측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도 "방사능 자동 계측기의 모니터링 결과가 온라인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은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해소되지 않는 오염 우려...모니터링 허점도

정부와 전문가들의 지적에도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북한이 언제라도 오염수를 하천에 방류할 경우 폐수가 예성강·임진강을 따라 한강 하구로 흘러들어 강화도 일대와 서해를 오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폐수에는 우라늄 등 방사성 물질 뿐만 아니라 각종 중금속과 독성 화학물질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 근해에서 잡히는 꽃게와 어류 등의 오염 가

북한 핵 폐수 방류 의혹....정부 "문제없지만 대책 협의중"

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2000년대 중반부터 평산 우라늄 광산 일대에 정련공장을 운영해 왔다. 이 광산에선 북한이 연간 약 36만t의 우라늄을 생산해 정련하는 것으로 미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등은 추정하고 있다. 공장에선 우라늄 광석을 분쇄해 가루로 만든 후 산에 녹여 침출한 후 이를 세척, 건조시켜 순도를 높인 이른바 '옐로우 케이크'를 생산하는 시설이며, 이는 영변 등의 농축시설로 옮겨져 고농축우라늄(HEU)제조에 투입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등은 최근에도 이 시설이 활발하게 가동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평산에서 생산되는 옐로 케이크는 최대 약 340㎏으로 이론적으로는 연간 20개의 핵폭탄 제조가 가능한 양으로 알려졌다.

위험성이 높은 데 비해 정부의 감시망이 허술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구 밀집 지역과 가까운 한강의 경우 환경부의 모니터링은 연 2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하반기에 집중호후 시기 직후 추가 수질 측정을 할 계획" 이라면서도 "하천에선 식수의 안전 위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하구 쪽에선 측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감시망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와 국내 원전에서 누출될 수 있는 방사능 오염에 주로 대비하고 있어 북한에서 내려오는 오염원에는 대응이 미흡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5일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의 주권과 국민의 생존권의 문제"라며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은 수도권과 100km밖에 안 떨어진 곳으로 충격적인 상황"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안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일/김리안 기자 hiunea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