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행 우짜믄 좋노?… 정원 보러 오이소[김선미의 시크릿가든]

12 hours ago 3
《부산은 바다의 도시인 줄만 알았는데 아니었다. 최근 문화 감성 가득한 정원들이 도시 일상에 녹아들고 있었다. 예술과 커피, 부산시와 로컬 기업의 도전 정신이 있었다. 이래저래 해외여행이 부담스러운 요즘, 부산은 소소한 휴식과 가슴 뛰는 감동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여행지 아닐까. 바다 위로 뜨는 해를 보며 새해를 살아갈 다짐을 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을 정원 여행자의 마음으로 둘러보았다.》

● 옛 부산시장 관사를 소풍하듯 산책

요즘 부산의 대표 ‘핫플’로 떠오른 곳이 있다. 옛 부산시장 관사를 리모델링한 수영구 남천동 복합문화공간 ‘도모헌’(면적 1만8015㎡)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2021년 취임 후 관사에 입주하지 않고 시민 품으로 돌려주겠다고 밝힌 뒤 개조 공사를 거쳐 지난해 9월 전면 개방됐다. 지금까지 12만 명 넘게 다녀갔다.

도모헌에 들어서면 마치 청와대 경내를 걷는 기분이다. 산책로를 따라 오래된 소나무를 비롯해 149종류 4만 그루 나무가 심어져 있다. 실제로 1984년 대통령 지방 숙소로 지어져 ‘지방 청와대’로 불렸다. 이후 부산시장 공관으로 사용되며 2004년부터 일부 공간이 개방됐으나 대통령과 시장이 머무르던 본관까지 전면 공개된 것은 40년 만이다. 김중업 건축가(1922∼1988)가 설계한 건물을 최욱 건축가가 재탄생시켰다.

도모헌 ‘소소풍 정원’. 도모헌 제공

도모헌 ‘소소풍 정원’. 도모헌 제공
도모헌의 정원 이름은 ‘소소풍 정원’이다. ‘소소하게 작은 소풍을 하는 정원’이란 뜻으로, 청나래고사리와 오이풀 같은 들꽃과 재활용 야외 가구들이 어우러져 평온한 분위기다. 광안대교가 멀리 보이는 너른 잔디정원은 눕거나 거닐거나 뛰놀 수 있는 초록색 ‘자유의 도화지’인 셈이다. 지난해 9월 부산시 제1호 생활정원(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하는 개방형 정원)으로 지정됐다.

도모헌 내 공유오피스. 도모헌 제공

도모헌 내 공유오피스. 도모헌 제공
도모헌은 ‘무엇이든 자유롭게 도모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다. 잘 익은 콩과 달개비꽃 등 자연의 색으로 이름을 붙인 각 공간에서는 재미있는 일들을 도모하고 있다. 부산시립미술관과 협업한 전시, 부산의 미슐랭 레스토랑 요리사 특강, 가드닝 클래스…. 부산 커피 기업 ‘모모스커피’ 매장에서는 ‘도모헌 블렌드’라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

도모헌 그림을 패키지에 담은 모모스커피. 모모스커피 제공

도모헌 그림을 패키지에 담은 모모스커피. 모모스커피 제공
● 부산의 멋, ‘모모스커피’의 정원

지난해 문을 연 모모스커피 해운대 마린시티점은 ‘부산시 아름다운 조경상’을 받은 ‘오션뷰 맛집’이자 ‘정원 맛집’이다. 해운대 바다를 바라보면서 동백나무와 후박나무가 심어진 숲정원을 거닐 수 있다. 무언가에 쫓기지 않고 느릿한 시선을 바다와 숲에 두는 사람들의 표정이 평안해 보인다. 요가와 러닝 모임이 이뤄지기도 하는 이 정원 이름은 ‘모두의 정원’이다.

모모스커피 마린시티점. 모모스커피 제공

모모스커피 마린시티점. 모모스커피 제공
모모스커피는 부산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2007년 부산 금정구 온천장역 앞 네 평 공간에서 시작해 온천장 본점(2007년), 영도 로스터리&커피바(2021년), 해운대 마린시티점(2024년), 도모헌점(2024년) 등 네 개의 ‘스페셜티 커피’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15개국 100여 개 농장에서 원두를 들여오며, 세계 바리스타 챔피언을 두 명이나 둔 ‘커피에 진심’인 회사다. 지난해 기준 연 매출 200억 원, 연간 방문객은 120만 명이다.

부산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장소들에 들어섰기 때문에 모모스커피 매장 네 곳만 ‘도장 깨듯’ 순례해도 훌륭한 부산 도시 여행이 될 수 있다. 특히 봉래동 물양장(소형 선박 접안 부두) 앞 창고를 개조한 영도 로스터리&커피바는 6·25전쟁 중 피란민촌이던 영도에 멋쟁이 MZ세대를 불러모으고 있다. 부산에 밀면과 돼지국밥만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모모스커피가 부산 커피 문화를 이끌고 있다.

● 부산 제1호 민간정원 ‘F1963’

부산시 수영구 망미동 복합문화공간 ‘F1963’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대나무 숲이 눈과 마음을 씻어준다. 2016년 심은 대나무 묘목들이 지금은 울창한 숲을 이룬 ‘소리길’이다. 도시에 초록색 산소를 훅 불어주는 것 같다.

지난해 12월 탄생한 부산시 제1호 민간정원(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가꾼 정원을 개방하는 산림청 지정 정원)이 바로 F1963 정원이다. F1963은 고려제강 공장이 설립된 해인 1963과 공장(Factory)의 ‘F’를 합친 단어다. 1963년부터 45년간 가동하던 공장이 이전하고 창고로 사용되다가 2016년 부산비엔날레 전시장으로 쓰이면서 거듭났다. 공장은 예술홀, 창고는 도서관, 부속 건물은 유리 온실로 탈바꿈했다. 국제갤러리, 예스24, 테라로사커피에 이어 2021년에는 현대모터스튜디오도 자리 잡았다.

F1963 유리 온실.

F1963 유리 온실.
권춘희 ‘뜰과숲’ 대표는 으스대지 않는 조경으로 F1963 재생 건축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대나무를 심은 건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의 뜻이었다. 올곧으면서도 유연한 대나무 성질이 와이어와 닮았기 때문이다. 산책로에는 옛 공장 바닥 콘크리트를 재활용해 깔고 정수시설이 있던 공간은 ‘단풍가든’으로, 완제품을 처리하던 뒷마당은 ‘달빛가든’과 유리 온실로 조성했다. 유리 온실에서는 식물들의 섬세한 속삭임을 들으며 책을 읽을 수 있다.

현대모터스튜디오 4층 정원.

현대모터스튜디오 4층 정원.

F1963 암석 정원.

F1963 암석 정원.
현대모터스튜디오 4층에는 야외 정원을 갖춘 ‘마이클 어반 팜 테이블’이라는 식당이 있고, 1층 미디어월 맞은편에는 지금은 서점으로 활용되는 옛 공장이 있다. F1963에서 정원은 과거와 미래를 잇는다. 두 건물 사이 좁은 배수로 위에 만든 암석정원의 돌과 넝쿨, 사초류(莎草類) 풍경이 수채화처럼 서정적이다. 도서관 콘크리트 벽을 타고 올라가는 당마삭줄이 5월에 피우는 흰 꽃 향기가 일품이라니 봄에 또 와야겠다.

황지해 정원작가 작품. 조현화랑 제공

황지해 정원작가 작품. 조현화랑 제공
● 갤러리와 호텔에 들어선 정원

부산 동쪽 기장군으로 향하는 도중 해운대 달맞이길에 올랐다. ‘문탠로드’ 산책로에 우거진 나무들 사이로 겨울 햇살이 눈부시게 빛났다. 부산 문화를 이끄는 조현화랑에서는 다음 달 중순까지 권대섭 도예가의 달항아리 전시와 황지해 정원가의 작품 ‘물이 오를 때’ 전시가 열린다. 흙과 자연을 매개로 생명력과 본질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황 작가는 “박주가리 씨앗을 통해 미기후(微氣候·지면에 접한 대기층 기후)가 세상을 얼마나 아름답고 견고하게 지켜내는지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빌라쥬 드 아난티 정원. HEA 제공

빌라쥬 드 아난티 정원. HEA 제공
국내 토종 호텔·리조트 브랜드로 성공한 아난티는 기장군을 개발시킨 주역이다. 2017년 기장군에 ‘아난티 코브’를 연 데 이어 2023년 ‘빌라쥬 드 아난티’를 열었다. 바다와 숲, 도시와 정원이 만나는 ‘아난티 마을’이라는 뜻이다. 투숙객이 아니어도 문화시설과 정원을 누릴 수 있다. 둥근형 꽝꽝나무로 만든 미로 정원, 호랑가시나무가 품는 정갈한 돌담, 은목서와 홍가시나무 같은 남부 수종(樹種)이 심어진 산책로가 ‘부산의 아름다운 정원 여행’을 함께한다.
그 밖의 추천 여행지
◇해동용궁사 부산 기장군 바다와 맞닿은 사찰. 풍광이 뛰어나 부산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에 속한다. 바다 위로 해가 뜨기 전 색감이 마크 로스코 그림과 흡사하다. 정성스레 고른 새해 소원 하나를 빌어 본다.

◇감천문화마을 피란민촌이라는 역사와 공공미술이 만나 ‘아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산기슭에 알록달록 칠해진 집들이 이탈리아 친퀘테레를 연상케 한다. 어린왕자와 사막여우 동상 앞에서 사진을 찍으려는 줄이 길게 늘어선다.

◇흰여울문화마을 부산 대표 원도심이 독창적 문화예술마을로 거듭났다. ‘부산의 산토리니’로 불리며 영화 ‘변호인’과 ‘범죄와의 전쟁’ 등이 촬영됐다. 형형색색 계단과 산책길 끝에 있는 동굴이 사진 명소다.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 황재성의 황금알

    황재성의 황금알

글·사진 부산=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