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뛰어넘는 미래 먹거리 이제 바이오의 시간

14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 일본이 각기 다른 전략으로 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한국은 합성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에 의존하고 있지만, 지난 20년간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K바이오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새로운 '액션플랜 V4'는 의료 데이터, 혁신 신약, 산업 융합, 항노화 분야의 개선을 통해 한국 바이오산업의 규모를 10년 내 4배로 확대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강대국 잇달아 바이오에 투자
산업 규모 반도체 3배로 '점프'
저성장 갇힌 한국 재도약 열쇠
매일경제 59주년 국민보고대회
AI신약·융합산업 전략 등 망라
K바이오 필승전략 한권에 담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금 전 세계는 바이오산업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반도체를 능가하는 새로운 먹거리가 바이오 시장에서 빠르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생명공학을 융합해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중국은 국가 주도 전략으로 미국 추격에 나섰다. 일본은 고령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지원을 늘리며 줄기세포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패권국이 잇따라 바이오 시장에 뛰어들면서 올해 글로벌 바이오산업 규모는 2조4000억달러로 반도체(7000억달러)의 3배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관세 전쟁에 불을 붙이며 경쟁국 견제에 나선 주요 전장도 바이오다. 의약품을 둘러싼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면서 유럽연합(EU)과 중국도 '맞불' 작전에 들어갔다. 반면 한국의 실상은 초라하다. 반도체, 자동차 등 전통 제조업이 성장 한계에 봉착하며 활로가 좁아지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년간 합성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로 양적 성장을 일궜지만 지난해 '톱10' 기업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미국의 1%인 9억달러로 질적 성장에 한계를 보였다.

바이오 패권경쟁 매일경제 국민보고대회팀 지음 매일경제신문사 펴냄, 2만원

바이오 패권경쟁 매일경제 국민보고대회팀 지음 매일경제신문사 펴냄, 2만원

바이오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로 패권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지, 만성적인 저성장의 덫에 빠질지 갈림길에 섰다. '바이오 패권 경쟁'은 국내외 바이오 전문가 40명과 치열하게 토론한 끝에 재도약의 갈림길에 선 대한민국이 가야 할 방향을 명쾌하게 제시했다. 매일경제는 올해 창간 59주년을 맞아 최근 제35차 비전코리아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K바이오에 신성장 엔진을 탑재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내놨다. 비전코리아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한 K바이오 발전 전략을 집대성해 한 권에 담았다.

국민보고대회팀은 △의료 데이터 △혁신 신약 △산업 융합 △항노화 분야 제도를 대폭 개선하는 내용을 담은 K바이오 필승 전략인 '액션플랜 V4'를 제시했다. 이 책을 통해 블록버스터 신약(연매출 10억달러 이상 의약품) 확보 전략과 융합 산업 성장 정책, 항노화 산업 육성 로드맵을 확인해볼 수 있다.

생명공학이 의료와 융합한 레드바이오, 화학과 결합한 화이트바이오, 농업과 접목한 그린바이오 등 3대 산업을 집중 육성하면 K바이오 규모는 향후 10년간 4배 커져 반도체를 뛰어넘을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가 지난해 60조원에서 2034년 244조원으로 '퀀텀점프'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2034년 반도체 업종 예상 산업 규모는 240조원이다. 지난해 삼성전자 전체 매출에 버금가는 산업이 하나 더 생겨 만성적인 저성장에서 탈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전까지 국내 제약·바이오업체는 글로벌 기업의 만료된 특허를 바탕으로 복제약(바이오시밀러)을 만들거나 위탁개발생산(CDMO)을 하는 데 주력했다. 자금력과 기술력 부족으로 아직 블록버스터 신약까지 손에 쥐지는 못했다.

하지만 잠자는 의료 데이터를 깨워 적극적으로 사업에 활용하고, 임상시험 무대를 아시아권으로 넓히면 레드바이오 분야의 100대 기업 매출은 향후 10년간 48조원에서 139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 친환경 바이오 연료 생산 보조금이 강화되고, 생분해 플라스틱 사용 촉진 정책이 단행되면 관련 산업이 4조에서 74조원으로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그린바이오에서는 유전자 편집연구 규제가 완화돼 고부가가치 작물 개발 등이 활발해지면 8조원에서 31조원으로 산업 규모가 커진다. 이 책은 패권국의 치열한 바이오산업 도전 속에서 한국만 낙오될 수는 없다는 의지를 담았다. 바이오 패권 경쟁에 당당히 임할 실전 전략이 필요한 기업이나 정책 당국자에게는 필독서다.

[박윤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