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할 경선 방식을 두고 논의를 거듭한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12일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 50%'인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하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 참여를 숙고하겠다"며 즉각 반발했다.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참여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 방식이 변화해 왔다"며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은 또 한 번 변화를 맞이한다.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투표에 나서는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으로 이들이 50%의 권리를 행사한다.
나머지 50%는 국민여론조사로 한다. 당은 안심번호로 100만명을 추출한다. 이후 50만명씩 나눠 두 개의 여론조사를 하고 합산치를 50%로 반영할 예정이다.
당은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충청과 경상, 호남, 수도권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다. 당원 투표 결과는 각 순회 경선 때 발표한다.
국민여론조사 결과는 순회 경선 마지막 날에 발표한다. 여론조사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남은 절차는 당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 의결이다. 이후 14일 전까지 전당원 투표가 이뤄지고, 중앙위원회 의결로 최종 확정된다.
비명계 주자들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김동연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두관 전 의원 측은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경선룰 확정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