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한미훈련에 비난 쏟아내
추가 핵·미사일실험 명분쌓아
韓 “北 미사일 도발 강력규탄”
정동영 “한미훈련조정불가피”
대북 유감표명 국방부와 엇박자
북한 국방 수장이 한미 안보 협력 확대, 미국의 한반도 전략자산 전개에 공개 반발하자 그동안 북한의 미사일 도발 등에도 침묵하던 우리 국방부가 유감을 표명했다. 하지만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한미 연합훈련 ‘조정’을 재차 거론하며 대북 유화 제스처를 유지했다.
국방부는 8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메시지에 응수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늘 (북한이) 한미의 연례적인 연합훈련과 회의 등을 비난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군은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군사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노광철 북한 국방상은 7일 담화를 통해 지난 3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개최한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비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끝까지 대결하려는 적대적 본성의 여과 없는 노출이고 숨김 없는 의도적 표명”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진행된 한미 공군의 대규모 공중 연합훈련 ‘프리덤 플래그’와 부산작전기지에 미 해군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호 등 제5항모전단이 입항한 데 대해서도 “새로운 긴장 변수를 가세하며 임계 초과를 예고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노 국방상은 “우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끝까지 대결적이려는 미국의 적의를 정확히 이해했으며 그에 대한 화답을 절대로 피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의 안전권에 접근하는 일체의 모든 위협들은 우리의 정조준권 안에 놓이게 되며 필요한 방식으로 관리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담화는 북한이 미국을 향해 미북대화의 전제 조건을 다시 한번 주지하는 성격이 있다. 북한은 꾸준히 한미 군사훈련의 중단과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중단을 요구해왔다. 또한 핵·미사일 고도화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는 측면도 있다.
북한이 내년 초 9차 당대회를 앞두고 추가 핵·미사일 실험을 하기 위해 포석을 깔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추가적인 신형무기 시험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다소 과도하게 반응한 측면이 있다”며 “군사적 성과를 과시하고 내부 결속을 강화하며 외부에 대한 압박과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도발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국방부의 유감 표명과 달리 정 장관은 미북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한다는 취지의 견해를 내놨다. 정 장관은 8일 서울 서초구에서 진행된 강연 이후 취재진과 만나 “북미회담이 실현되려면 한미 연합훈련의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아주 예민한 문제이긴 하나 한미 군사훈련을 하면서 북미회담으로 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이날 원자력(핵)추진잠수함 건조가 “자주국방의 쾌거”라고 평가하며 대북 대비태세를 획기적으로 강화할 전략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 출연해 “우리 군의 30년 염원이었던 핵잠 건조의 꿈이 현실로 다가오는 단계까지 왔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핵잠이 식량 보급만 되면 이론적으로 계속 물속에 있을 수 있다면서 “동·서·남 어디에서 출몰할지 모르기에 김정은이는 잠을 못 잘 것”이라면서 “잠항 능력과 속력에 간담이 서늘하지 않을까 싶다”고 강조했다.






![[단독]‘방산 특사’ 강훈식 이번주 UAE 찾아 세일즈](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10/132734275.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