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경제가 2024년 1분기에 0.5% 감소해, 예상보다 심각한 하락 현상 발생
-
수입 급증과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불확실성 증가와 소비 위축으로 연결됨
-
소비자 신뢰 지수와 소비 지출 모두 크게 약화되는 양상 나타남
-
GDP 기초 체력을 보여주는 항목도 직전 분기 대비 하락세 기록함
-
향후 2분기(4~6월) 에는 경제 반등이 예상됨
미국 1분기 경제 성장률, 예정보다 악화된 결과
- 미국 경제가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연율 0.5% 하락 기록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기업 및 소비자들이 새로운 관세 전에 해외 상품을 급히 구매하면서 수입이 크게 증가함
- 미국 상무부는 당초 1분기 성장률을 –0.2% 로 예측했으나, 실제 수치는 더욱 악화됨
- 경제학자들은 이번 결과를 예상치 못한 감소로 평가함
GDP, 소비, 그리고 무역 상황
-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2.4% 증가에서 1분기에는 하락세로 전환됨
-
수입이 37.9% 급증하여 2020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율 기록
- 이로 인해 GDP 수치가 약 4.7%포인트 감소 영향
-
소비자 지출 역시 크게 둔화되어, 2023년 4분기 4% 증가에서 2024년 1분기 0.5% 증가로 크게 하락
- 상무부가 산출한 본질적 경제 체력을 보여주는 GDP 하위 항목은 연율 1.9% 증가에 그침
- 직전 4분기(2024년 4분기)에는 2.9% 증가 기록
-
정부 지출은 4.6% 하락하여, 2022년 이후 최대 폭 기록
소비자의 신뢰와 경제 전망
-
Trump 정부의 새로운 관세 영향으로 소비자 신뢰가 약화되고 지출 위축 상황 지속
- Conference Board 기준 소비자 신뢰 지수는 6월에 93으로, 전월(98.4) 대비 5.4포인트 하락
- 단기 소득, 경제, 고용 관련 예상치 역시 4.6포인트 하락하여 침체 신호로 여겨지는 80선 이하로 내려감
- 이전 Federal Reserve 이코노미스트 Claudia Sahm은 소비자 지출 하락이 경제에 부정적 신호임을 지적함
무역적자와 GDP 연동
-
무역적자는 수입 증가로 인해 확대되며, 이는 수학적으로 GDP 감소 요인임
- GDP는 국내 생산만 산출하므로, 수입분을 계산에서 빼야 실질 국내 생산 반영 가능
- 1분기 수입 급증 현상은 단기적 현상으로, 2분기에는 재발하지 않을 가능성 큼
향후 전망
- 경제학자들은 2분기(4~6월)에는 3%대 성장률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함 (FactSet 사 설문조사 기준)
-
4~6월 GDP 첫 발표는 7월 30일 예정
- (기사 내 오류 정정: 2022년 이후 정부 지출이 가장 크게 감소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