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세종시가 일류경제도시·일류행정도시로 거듭날 채비를 마쳤다. 이장우 대전시장의 핵심 공약인 ‘산업단지 500만평+α 조성’ 사업이 7부 능선을 넘었다. 대전 상장 기업은 이달 현재 66개로, 전국 광역시 중 인천과 부산에 이어 3위다. 대전이 ‘공무원 도시’ ‘행정도시’에서 ‘기업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세종도 국회의사당과 대통령집무실 설치가 급물살을 타며 명실공히 행정수도 도약을 꿈꾸게 됐다. 국토의 중심인 대전과 세종에서 대한민국을 이끌 산업과 행정이 태동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꽃피는 대전 6대 핵심 전략산업
27일 대전시와 세종시에 따르면 대전시는 민선 8기 출범 직후 ‘ABCDQR’(우주항공, 바이오, 반도체, 국방, 양자, 로봇)을 6대 핵심 전략산업으로 정하고 성과를 내고 있다. 시는 민선 8기 들어 우주항공 산업 육성을 위해 471억원을 투입해 관련 기업을 69개에서 88개로 27% 늘렸다. 관련 일자리 종사자도 2357명에서 3367명으로 43% 증가했다. 매출은 5240억원에서 7499억원으로 43%나 높였다. 바이오 기업에 1579억원을 투입해 8개사 기술 수출액이 12조5000억원을 넘으며 184%나 성장하도록 지원했다. 외국인 직접투자는 5억9100만달러로 2021년 대비 503% 늘었다.
주식시장 시총 1조원 클럽 중 대전에 5개 기업이 있을 만큼 몸집이 커졌다. 시는 2029년까지 바이오메디컬 혁신지구를 조성하고 바이오파운드리 데이터 확보, 인재 양성 등에 힘써 국내 최고의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반도체 산업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2664억원을 투자해 반도체의 질적·양적 성장을 넘어 산업 생태계(창업→성장→상장)로 정착시키고 있다. 민선 8기 들어서만 5개 기업이 상장하는 성과를 냈다. 첨단장비를 구축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실증 지원 및 대학-기업 간 인재 양성에 행정력을 모을 방침이다.
국방 분야에서도 기업이 133개에서 230개로 73% 늘었다. 군수 부문 매출은 1911억원에서 3281억원으로 72% 상승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드론, 반도체 등 유망 분야의 ‘실증-사업화-수출’ 선순환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는 양자 산업에도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다. 관련 벤처 창업기업과 업종 전환 기업 등 다양한 기업이 양자 핵심 기술을 보유하도록 기업 특성별로 맞춤형으로 지원해 양자시장에 본격 진입시킬 계획이다.
로봇도 대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산업이다. 대전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전국 최고 로봇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우주·국방·바이오산업과 로봇 기술을 연계해 실증 및 창업 중심의 융합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연구개발(R&D)-실증-융합-창업’으로 이어지는 로봇 생태계를 확장하고, 감성·인지 기반의 딥테크 기술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가 6대 산업에 집중한 결과 각종 경제지표가 크게 개선됐다. 상장기업은 2021년 48개에서 이달 현재 66개로 38% 증가했다. 시가총액은 같은 기간 35조원에서 67조원으로 90%나 늘었다. 바이오기업 수출 실적도 2022~2024년 연평균 71%씩 증가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 상장기업 다수가 바이오, 양자, 로봇 등 첨단 전략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며 “기업이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대한민국 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국회의사당·대통령집무실 설치 급물살
현 정부 들어 세종시에 국회의사당, 대통령집무실 설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사실상 세종시가 행정수도 역할을 할 카운트다운이 시작된 것이다.
정부는 대통령집무실을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세종집무실 건설을 구상하고 있다. 정부는 부분 이전을 검토한 적이 있으나 지금은 완전 이전 시에도 문제가 없도록 세종집무실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집무실 부지 규모는 15만㎡로 알려져 있다. 외곽 유보지로 10만㎡를 더 추가해 모두 25만㎡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청와대 부지 규모와 같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63만㎡인 국회 세종의사당 면적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면적의 2배에 가깝다. 이 때문에 완전 이전도 어렵지 않은 것으로 보이다.
정부도 완전 이전을 충분히 검토 중이다. 세종의사당·집무실 예산은 395억원에서 1196억원으로 3배 이상으로 증액했다. 여기엔 부지 매입비와 설계비도 포함됐다. 정부는 세종시 중앙에 있는 원수산 전월산 남측 약 210만 ㎡ 부지를 국가상징구역으로 명명하고 이곳에 대통령 세종집무실, 국회 세종의사당 그리고 시민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한 국제공모 절차도 착수했다. 이를 통해 마스터플랜을 마련할 계획을 세웠다.
세종시 연서면 일대에 조성되는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도 보상 절차에 들어가는 등 원활히 추진되고 있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연서면 와촌리·부동리 일대에 275만3229㎡ 규모로 조성된다.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27년 하반기 분양이 시작되며, 2031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산단 인근에는 세종~포천 고속도로와 세종~청주 고속도로가 신설되고, 산단 내에는 3000가구 규모 공동주택과 학교 등이 조성돼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세종=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5 hours ago
1







![[밀착취재] "구청 단속만 피하면 돼"…게릴라식 노점상 어쩌나](https://img.vod.mbn.co.kr/vod2/552/2025/10/27/20251027194320_20_552_1402311_1080_7_s1.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