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정년연장은 후순위?...한국 노총 “차등 시행 안돼”

5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정부의 단계적 정년 연장 방안에 찬성하지만 대기업의 차등적 시행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새벽배송 전면금지에 동의하지 않으며, 노동자의 건강권과 사회적 수요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대화 재개에 대해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김동명 한국노총위원장 간담회

“단계적 연장에는 동의하지만
기업 나눠서 적용 땐 갈등만”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정부·여당의 정년 연장 논의와 관련해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년을 늘리는 방안에는 찬성하지만, 대기업은 나중에 도입하는 방식의 ‘차등적 시행’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그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새벽배송 전면금지 방안에 대해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김 위원장은 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기업 정규직을 중심으로 정년 연장 혜택이 쏠릴 가능성에 대해 “열악한 곳부터 (정년 연장을) 먼저 하고 정규직이나 대기업 등에는 늦게 적용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사회적 갈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차등적으로 도입했을 때 조직 내분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단계적 시행은 수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현재 당정이 추진하는 65세 법정 정년 연장과 관련해선 “합의를 기다리면 100년이 지나도 입법할 수 없다”면서 조속한 입법화를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사측과 연내 합의는 어렵다고 본다”며 “입법하는 당이나 국회·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금 삭감을 전제로 하는 정년 연장 방안을 두고선 “한국노총은 유연한 입장을 가지고 책임 있게 협의에 임하겠다”면서도 “꼭 그게 임금을 지칭한 것으로 해석하지는 말아 달라”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권 종사자들이 일반 근로자보다 평균 임금이 높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주4.5일제 도입에서 앞서 나가려는 데 대한 사회적 반감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잘 나갈 수 있는 부분이 선도해줘야 우리 사회가 저 밑에서도 같이 닮아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못마땅함이 있더라도 선도 효과를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는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가 제안한 새벽배송 규제에 대해선 “전면금지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현실적으로 생계를 위해 일해야만 하는 노동자들이 있고, 새벽배송이 꼭 필요한 소비자층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런 문제가 제기되는 것은 가볍지 않다고 본다”며 “현행처럼 무리한 시간대에 일하는 것은 완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자의 건강권을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사회적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중간 지대를 찾고 단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 당시 비상계엄 이후 ‘개점휴업’ 상태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사회적 대화가 언제 재개되느냐는 질문에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다시 진행해야 한다”며 “연내보다 더 빠를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