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게임즈, 성장세 지속한 출범 3주년 넘어 글로벌 도약 ‘도전’

4 days ago 5

넥슨게임즈

넥슨게임즈

넥슨게임즈(대표 박용현)가 출범 3년을 맞아 글로벌 게임 개발사로의 도약을 목표로 장르 및 플랫폼 다변화에 한창이다. 지난 3년간 큰 폭으로 성장한 외형과 강화된 내실로 다수의 프로젝트를 가동하며 또 한번의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넥슨게임즈는 지난 2022년 3월 31일 넷게임즈와 넥슨지티의 합병을 통해 탄생했다. 통합 법인으로 재탄생한 넥슨게임즈는 지난 3년간 라이브 게임과 신작 등 라인업을 크게 확장하며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실제 합병 이전 넷게임즈 기준 라이브 게임 ‘블루 아카이브’와 ‘V4’에 신작 ‘히트2’와 ‘퍼스트 디센던트’를 더하고 넥슨지티의 라이브 게임 ‘서든어택’까지 포함한 총 5종의 게임을 라이브 서비스 중인 넥슨게임즈는 여기에 3종의 신작을 추가로 개발하며 라이업을 확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 인력도 큰 폭으로 증가해 지난 2022년 3월 말 기준 895명이었던 넥슨게임즈의 임직원 수는 2024년 12월 기준 1459명으로 약 63% 늘었다. 고용노동부 주관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커리어 플랫폼 ‘잡플래닛’의 ‘잡플래닛 어워즈’ 등에 선정되며 일자리 창출 뿐 아니라 일하기 좋은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데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 같은 외형 성장은 재무적인 성과로도 이어졌다. 지난 2022년부터 넥슨게임즈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큰 폭의 성장을 지속하며 매년 역대 최고 실적을 갱신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2561억원, 영업이익은 387억원으로 2022년과 비교해 각각 93%, 644% 증가했다.

넥슨게임즈는 출범 이후 ‘한국 최대 게임 개발사’라는 타이틀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하기 위한 기반도 탄탄하게 다졌다. 이의 일환으로 기존 라이브 게임의 서비스 권역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글로벌 게이머의 특성과 눈높이에 부합하는 장르와 플랫폼에 도전했다.

지난 2022년 8월 한국에 출시돼 양대 앱마켓에서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한 ‘히트2’는 지난 2023년 대만·홍콩·마카오에 이어 지난해에는 일본에도 출시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서비스 권역을 늘렸다.

또 지난 2021년 일본에 가장 먼저 출시된 ‘블루 아카이브’는 같은 해 11월 한국 및 글로벌 지역, 2023년 중국에 출시되며 글로벌 서브컬처 지식재산권(IP)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모바일 시장 조사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블루 아카이브’는 출시 후 4년 동안 글로벌 누적 매출 6억5000만 달러(한화 약 9375억원), 누적 다운로드 수 1300만건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넥슨게임즈 3년간의 변화

넥슨게임즈 3년간의 변화

지난해 7월 글로벌 출시한 루트슈터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는 글로벌 PC 게임 플랫폼인 ‘스팀’에서 글로벌 매출 1위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총 26개 국에서 스팀 매출 TOP5에 들었고 특히 미국에서는 스팀 매출 1위를 5주간 이어갔다.

이처럼 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의 문을 두드리면서 넥슨게임즈의 게임 장르와 플랫폼, 시장도 점차 다변화되는 추세다. 이전까지는 출시작 대부분이 RPG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합병 이후에는 슈팅게임, 서브컬처, 루트슈터 등 다채로운 장르의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에 집중했던 플랫폼 역시 글로벌 멀티 플랫폼으로 확장하면서 PC, 콘솔 게임의 비중이 늘고 있다. 한국과 일부 아시아 지역에 한정돼 있던 서비스 권역도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 주요 아시아 시장은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으로까지 확장됐다.

현재 넥슨게임즈는 축적된 게임 개발력과 해외 서비스 노하우를 기반으로 글로벌 공략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넥슨게임즈는 PC·모바일·콘솔 오픈액션 액션 RPG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PC·콘솔 MMORPG ‘프로젝트DX’, PC·모바일 서브컬처 ‘프로젝트 RX’ 등 각기 다른 장르와 플랫폼의 신작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특히 ‘던전앤파이터: 아라드’와 ‘프로젝트DX’는 넥슨의 대형 IP인 ‘던전앤파이터’, ‘듀랑고’를 활용한 신작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넥슨컴퍼니 차원의 미래 전략 중 하나인 IP 확장의 중요한 축을 맡은 셈이다.

넥슨게임즈 박용현 대표는 “넥슨게임즈는 지난 3년 동안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탄탄한 게임 라인업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에 도전적으로 진출하며 내실을 다져왔다”며 “향후에도 개발 역량을 키우고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여 세계에서 사랑받는 게임을 계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