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9일 저녁 또 결렬된 가운데 이날 오후 10시 30분 재협상에 들어가기로 했다.
두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룰 도입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역선택 방지룰이란 상대 당 지지자를 여론조사에 포함하지 않는 방식이다.
앞서 이날 오후 8시 30분부터 이뤄진 협상장에서 김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룰 적용에 반대했고, 한 후보 측은 찬성했다.
김 후보 측은 당원 투표 없이 일반 여론조사 100%로 단일화를 진행하자고 했지만, 한 후보 측은 “이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단일화”라며 반대했다.
김 후보 측은 단일화 협상이 결렬된 이후 입장문을 통해 “한 후보는 전 국민을 상대로 단일화 방식과 절차를 당에 일임하겠다고 해왔다”면서 “그러나 정작 협상에 임할 때는 자신들의 협상안 하나만을 들고 나와 이를 고집하는 거짓된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 후보 측 대리인인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저희가 생각한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법은 김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했던 그 방법(당원투표 50%+국민 여론조사 50%)을 저희는 전적으로 존중한다고 한 것”이라며 “전 당원 K보팅으로 하는 것도 말했는데 그것도 응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협상장에 동석했던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단일화 협상 직후 기자들과 만나 “ARS(자동응답) 방식, 여론조사 표본 3000명 이상으로 하는 것은 이견이 없었는데 역선택 방지 조항 둘러싸고 김 후보 측과 한 후보 측 이견이 해결되지 않아서 간단하게 끝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