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경선룰 결정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비명(비이재명계)계 후보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 고영인 캠프 대리인은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는 방향이라는 여러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간이 촉박할수록 원칙과 상식을 지키는 게 국민과 당원의 마음을 모으는 길”이라며 “기존 당규대로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 측은 2017년과 2021년 대선 경선에서 활용했던 ‘국민경선’을 이번 경선에도 도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경선은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고, 일반 국민은 참여 의사를 밝힌 접수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김 지사 측은 대선특별당규준비위가 권리당원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 50% 이상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국민참여경선’을 선택하려 한다고 보고 있다.
김두관 캠프도 이날 오전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체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며 “진정 독선과 독재의 길이 아니길 바랄 뿐”이라고 가세했다.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경선 룰에 대한 입장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제가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나”라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전날 오후 4시부터 밤 11시까지 ‘경선룰’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날도 경선룰 확정을 위한 논의를 지속했다.
촉박한 대선 일정을 감안하면 이번 주말, 늦어도 내주 총까지는 최고위원회 의결과 전당원 투표 등 절차를 거쳐 경선룰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