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균형선발 전형, 776명 더 모집하지만… 만학도 선발 늘어 수험생 기회는 감소

3 days ago 1

농어촌-수급자 등 지원 주의점은
수시 558명, 정시 218명 증가
수시에서 만학도 전형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모집인원 35명 늘어
합격 점수 낮지만 경쟁률은 높아… 여러 전형 적절히 섞어 지원하길

대학 입시에서 기회균형선발 전형은 기초생활수급자나 농어촌 지역 학생 등으로 지원 자격이 제한돼 있다. 선발 인원은 전체 모집 인원의 10% 정도이지만, 지원 자격이 제한돼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합격할 수 있다.

2026학년도 기회균형선발 전형 모집 인원은 3만8200명으로 전년보다 776명 증가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의 도움으로 2026학년도 기회균형선발 전형에 대해 알아본다.

올해 기회균형선발 전형은 지난해보다 수시모집에서 558명, 정시모집에서 218명 증가했다. 하지만 수시모집 인원은 대부분 만학도(성인 학습자) 전형(4880명)에서 늘어 고3 재학생이나 최근 고교를 졸업한 수험생 기회는 오히려 감소했다. 만학도 전형을 제외하면 기회균형선발 대상자(통합) 전형(7838명)에서 모집 인원이 지난해보다 35명 늘었다. 농어촌·도서 벽지 학생 전형(7516명), 기초생활수급자 등 전형(3874명), 특성화고 졸업자 전형(2475명) 등은 전년 대비 모집 인원이 줄었다.

수시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기회균형선발 대상자(통합) 전형은 기회균형선발 지원 자격 중 2개 이상을 선택해 해당 수험생을 통합 선발한다. 국가보훈 대상자나 농어촌 저소득층 학생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 소재 대학은 대부분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선발한다. 강서대 덕성여대 명지대 서경대 한국성서대만 학생부 교과 전형으로 선발한다. 학생부 종합 전형은 서류로 100% 선발하거나 면접을 치르기도 한다.

우 소장은 “일반 전형과 기회균형선발 전형에 모두 지원하는 수험생이 있는데 면접 일정이 다른 전형과 겹치면 중복 지원을 금지하는 대학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시에서는 농어촌·도서 벽지 학생 전형(1807명)이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 해당 전형의 지원 자격은 농어촌 중고교에서 6년 동안 모든 과정을 이수하고 본인과 부모 모두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거나 농어촌 초중고교에서 12년간 모든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본인이 농어촌 지역에 거주할 때 해당한다. 대부분 대학이 두 가지 유형을 모두 선발하지만, 국민대나 서울여대처럼 지원 자격 하나만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기회균형선발 전형은 일반적으로 합격 점수가 낮다. 숭실대가 발표한 2025학년도 정시 결과에 따르면 일반전형 최종 등록자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수학 탐구 백분위 평균은 84.46점이지만 농어촌 학생 전형은 76.42점이었다. 경쟁률은 일반전형이 5.86 대 1인데 농어촌 학생 전형은 7.85 대 1로 더 치열했다.

우 소장은 “모집 인원이 적어 기회균형선발 전형에만 지원하기보다는 일반전형과 적절히 섞어 지원하는 게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