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고사 끝나면 ‘입시의 계절’…지금부턴 ‘이것’ 해야 대학 간다는데 [톡톡 에듀]

6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방학이 곧 시작되며, 수험생들에게는 중요한 전략 세우기 시점이 다가왔다.

기말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학생부를 점검하고 대학 지원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주요 대학의 대학별고사 일정도 미리 파악해야 한다.

진학사 우연철 소장은 여름방학 동안 효율적인 학습 계획을 세워 수능 준비와 대학별고사를 병행할 것을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여름방학이 입시 승부처
성적 반전 노릴 실전 전략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기말고사가 끝나고 곧 여름방학이 시작된다. 방학을 앞두고 긴장이 풀릴 시기지만, 입시를 앞둔 수험생에게 방학은 단순한 휴식기가 아니다.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입시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번 방학은 부족한 과목을 보충하고 9월 수능 모의평가까지 실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의 조언을 바탕으로, 기말고사 이후 수험생이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전략을 정리했다.

학생부, 지금이 마지막 점검 기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학생부 점검이다. 기말고사 성적을 반영한 자신의 최종 내신 성적을 확인하고, 희망하는 대학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보통 학생부교과전형과 종합전형 중 한 가지 전형만 지원하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두 전형 모두를 염두에 두고 수시 전략을 세우게 된다. 따라서 학생부에 기록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등 종합전형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충분히 드러나는지 점검하도록 한다.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면 학교 담임 교사나 진학지도 교사와 면담을 통해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아직 1학기가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부 검토 시점은 빠를 수록 좋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남은 기간을 활용해 최대한 보완할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다.

수시 지원 전략 세우기

학생부 검토가 끝났다면 수시 지원 대학의 윤곽을 잡아놓는 것이 좋다. 이 때 6월 모의평가 성적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학생부교과전형과 논술전형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 대학은 종합전형에서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한다.

따라서 희망 대학의 수능최저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총족 가능성을 판단해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한다. 수능 준비 상황과 모평 성적을 바탕으로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을 어느 정도 가늠해 본 후, 그보다 한 단계 위 대학들로 수시 지원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대학별고사 준비

논술, 면접 등 수능 전 대학별고사를 실시하는 대학들이 있다.

논술전형의 경우 서울시립대와 연세대·성신여대(자연계열)가 9월 27일, 가톨릭대(의/약 제외)와 서경대, 성신여대(인문계열)는 9월 28일에 실시한다. 단국대와 을지대, 홍익대는 10월 18~19일 중, 상명대는 10월 31일과 11월 1일에 걸쳐 논술고사를 본다.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은 10월 25일 가천대(가천바람개비)를 시작으로 고려대(계열적합전형), 광운대(면접형), 동덕여대(동덕창의리더), 상명대(상명인재) 등이 수능 전에 실시한다.

수능에 임박해서 치르는 대학별고사는 수험생들에게는 큰 부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능 전 대학별고사를 치러야 한다면 여름방학 때부터 주 1~2회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대학별고사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수능 준비

수시 중심으로 전략을 짜더라도 수능 준비는 병행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시 카드를 날리게 되고, 수시 낙방 후 정시로 진학하려면 수능 성적이 유일한 기준이 된다. 6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과목별 취약 유형과 실수 패턴을 분석해 시간 관리, 약점 보완 전략을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수학 풀이 시간 부족하다면 비교적 쉬운 문제를 빠르게 푸는 연습과 고난도 문제의 기출풀이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계획을 세워볼 수 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지금부터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남은 기간을 효율적으로 보내야 한다”며 “여름방학은 기간은 짧지만 수능 준비, 대학별고사 준비 등 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목표 대학 진학을 위한 가장 유리한 방법에 우선순위를 두고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