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적 부정거래 해당 판단
패스트트랙으로 진행키로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에 대한 조사 결과를 패스트트랙으로 이르면 다음주 중 검찰에 이첩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은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을 사전에 인지한 정황을 포착했고, 사기적 부정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MBK·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이달 중 통상적 증권선물위원회 안건 상정은 어렵겠지만,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절차를 밟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신용평가 하방 위험을 인지한 시점이 언제인지, 회생 신청을 언제부터 기획하고 신청했는지 등이 쟁점"이라며 "신용등급 하락 결과가 발표된 날짜 이전에 (등급 하락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한 바 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고 회생 신청 계획까지 세워둔 상태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는다. 이런 의혹에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측은 신용등급 하락이 결정된 후에야 회생 신청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고 항변했다.
홈플러스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4개사는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고소한 상태다. 현재 서울중앙지검이 이 사건 수사를 진행 중이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 홈플러스의 CP·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단기채권 판매 잔액 5949억원 중 증권사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075억원으로 파악된다.
[문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