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사상 처음으로 트로인온스당 4000달러 벽 넘겨

7 hours ago 3

금값이 8일(현지시간)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심화하자 안전 자산 선호도가 높아진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그리니치 표준시(GMT) 기준 이날 2시 2분 0.3% 상승한 3997.09달러로 상승했으며 장 중 한때 4000.96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사진은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 한국금거래소의 골드바. 2025.10.8/뉴스1

금값이 8일(현지시간)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심화하자 안전 자산 선호도가 높아진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그리니치 표준시(GMT) 기준 이날 2시 2분 0.3% 상승한 3997.09달러로 상승했으며 장 중 한때 4000.96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사진은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 한국금거래소의 골드바. 2025.10.8/뉴스1
금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31.1034768g)당 4000달러(약 570만 원)의 벽을 넘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로 달러가 약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강해진 데다 미국발 관세 전쟁,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정지(셧다운)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8일 글로벌 금융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오전 10시 55분경 트로이온스당 4000.11달러였다. 오후 5시경에는 4039.91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날 새벽에는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도 트로이온스당 4000달러를 넘겼다. 금 현물의 트로이온스당 가격은 올해 3월 3000달러를 돌파한 뒤 7개월 만에 4000달러를 돌파한 것이다. 올해만 약 53% 상승했다.

금값 질주의 배경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꼽힌다.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자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전자산인 금이 주목받았다. 최근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정지로 불안감이 커지자 안전자산 수요가 더 늘었다.

미 연준이 연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통상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달러 가치가 떨어지고 금 수요가 늘어난다.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2026년 말 금 가격 전망치를 4300달러에서 4900달러로 상향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