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사무처가 당직자들이 주 52시간을 초과해 근무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일시적 비상근무일 뿐 국민을 위해 불철주야 일하겠다"며 "주 52시간제 근로 규제는 이제 유연화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사무처협의회는 16일 '국민을 위해 불철주야 일하겠습니다'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국민의힘 정책위원회가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내놓자 일부 언론이 국민의힘 당직자들이 주 최소 55시간 근무를 지시받았다고 보도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
국민의힘 사무처협의회는 "대통령 탄핵에 따른 정국 상황에 대응하고자 일시적으로 비상근무를 실시했다"며 "비상근무는 각종 선거 및 국정감사 등 국회 활동, 재난 재해 등 국가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됐고, 상황 종료 후에는 대체 휴무를 부여하거나 일부 기간에만 탄력적으로 유연 근무도 실시해왔다"고 밝혔다.
주 52시간제의 유연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무처협의회는 "현실과 괴리되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는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이제 유연화해야 한다"며 "필요할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그에 합당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근로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중요한 것은 '얼마나 일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일했는가'"라며 "'유연근무 주 4.5일제'는 근로자의 삶의 질과 업무 효율을 동시에 높이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