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국토교통부가 작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인 광주·전남에 대한 실효성 있는 경제회복 대책 마련에 본격 착수한다.
국토부는 24일 ‘12·29여객기 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피해지역인 광주·전남의 경제 회복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 |
출처: 국토교통부 |
이는 6월 30일 시행 예정인 ‘12·29여객기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9조에 따라 피해 지역의 문화·관광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특별지원 방안 수립이 의무화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참사 직후 공공 안전 확보를 위해 무안공항 활주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공항 내 상업시설, 항공기 취급업체, 지역 관광업계 등에서 직·간접적인 매출 감소와 경영난이 발생했다. 그로 인해 지역사회에선 체계적인 피해 분석과 맞춤형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국토부 12·29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단은 6개 관계부처와 광주·전남 지자체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피해 분석과 실질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지역개발학회 연구진이 총 6개월에 걸쳐 참사 관련 직·간접적 피해를 입은 업종·분야별 정밀 분석, 지자체 공무원·지역 소상공인 및 관광업계 종사자 대상 간담회·설문조사·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후 피해 업종별 실질 효과가 기대되는 맞춤형 경제활성화 방안·세부 사업계획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박정수 지원단장은 “항공사고는 단순한 항공 운송 차질을 넘어 지역 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특별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