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올 여름 반복하는 폭염에 채소류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고등어와 김 등 밥상에 자주 오르는 수산물 가격도 요동치고 있다. 특히 폭염이 오면 양식 어류가 대량 폐사할 가능성이 커 광어, 우럭 등 ‘국민 횟감’의 가격도 앞으로 더 오를 공산이 크다. 이미 폭염 등 기후변화가 해마다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가 된 만큼, 체계적인 실태조사와 평가 등 법적 근거 확보는 물론, 예산 마련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사진=뉴스1) |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해산물과 어패류 등 물가를 일컫는 신선어개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7.6% 올라 2023년 2월(8.1%)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는 전체 농축수산물 물가(2.1%)는 물론 신선식품지수(2.0%) 상승률을 웃돈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소비가 잦은 ‘대중성 어종’과 수출 물량이 늘어나며 내수용 가격 압박이 이어지는 김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조기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4% 올랐으며 고등어(12.6%), 굴(12.7%) 등도 두자릿수 오름세를 보였다. 새우(9.0%), 김(8.2%), 마른오징어(6.6%) 등도 전체 물가 오름폭을 상회했다.
특히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면 양식 수산물의 가격 역시 크게 뛸 수 있다. 고수온으로 인해 폐사하는 경우가 늘어나면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곧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아 산지에서 활어회 소비 등이 늘어나는 추세와 겹치면 양식 어류의 가격은 더 오를 수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7월 마지막 주 기준 광어 1㎏ 산지가격은 1만 75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올랐다. 우럭 산지가격(500g)은 1만 12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3% 높다. 해양수산부는 조기 출하를 유도해 최대한 수급을 안정시키겠다는 방침이지만, 폭염이 심화될수록 폐사율도 올라가는 만큼 변수는 남아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현상이 최근 매년 반복될 정도로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는 점이다. 어획량이 구조적으로 줄어들며 오징어, 고등어 등이 국내 어장에서 사라지는데다가, 여름철 고수온 경보가 내려지는 시점도 빨라지며 피해가 커질 공산도 크다. 이미 기후변화가 구조적인 변수가 된 만큼, 장기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해진 상황이다.
정부의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2023~2025)에 따르면, 농수산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투자액은 총 11조 2300억원이다. 이는 전체 재정투자액의 절반에 달하지만 현장에 직접 필요한 기술 보급을 위한 연구개발(R&D), 각종 교육 컨설팅 등도 필수적인 과제다.
특히 수산업 분야에는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법’ 외 보다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법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수산·양식 관련 법률에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과 실태조사, 취약성 평가 등을 위한 규정 마련과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수부 역시 어업 구조개선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예산 마련에 힘쓰고 있다. 올해 예산에는 스마트 양식업 표준화 모델 개발(5억원), 기존 양식장 자동화 설비 지원(58억원) 등이 담겼다. 또 어선 감척(2206억원) 등 어업 구조조정을 위한 예산도 담긴 바 있다. 해수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더욱 늘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