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역서 '손 떼' 시위, 대법원은 이민자 추방 제동…트럼프 곳곳서 역풍

3 weeks ago 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0일이 채 되지 않은 가운데 미국 전역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이민 정책 등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국 주요 도시에서 반대 집회가 열렸고,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한 지지율도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뉴욕시, 워싱턴 DC, 시카고, 필라델피아 등 미국 주요 도시에서 1200건 이상의 트럼프 대통령 규탄 시위가 열렸다. ‘손 떼’라는 뜻의 ‘핸즈 오프’ 피켓을 든 대규모 인파가 고 이날 시위에 참여했다.

“민주주의 위협”

이날 시위는 지난 5일 전국적으로 50만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한 데 이어 2주 만에 다시 열린 대규모 집회다.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서 시위에 참여한 메인주 출신의 토머스 배스퍼드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미국의 자유는 매우 위험한 시기에 처해 있다”며 “아이들에게 이 나라의 기원을 알려주고, 때로는 자유를 위해 싸워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몬태나주 리빙스턴에서도 시위행진이 있었다. 주최 측은 이번 시위가 “트럼프 행정부의 적대적인 정부 장악 시도”를 규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필라델피아에서는 1000명 이상이 참여해 ‘왕은 없다(No Kings)’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백악관의 정책과 행동이 “반민주적”이라며 비판했다. 뉴욕시 맨해튼 뉴욕 공공도서관 계단 앞에서도 이민자 추방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북소리에 맞춰 “두려움도, 증오도, 이민세관단속국(ICE)도 없다”고 외쳤다.

이날 전국적으로 조직된 시위 및 행사는 소셜미디어 레딧에서 시작된 풀뿌리 저항 캠페인인 ‘50501’ 운동이 주도했다. 50501은 같은 날, 미국 50개 주에서 50개의 시위를 열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경제 지지율 낮아

이같은 전국 시위에 참석한 이들은 주로 두 가지 점을 비판하고 있다. 우선 트럼프 행정부의 무작위 불법 이민자 단속이 인권을 침해한다는 점이다. 미국 시민권자인 후안 카를로스 로페스-고메스는 최근 플로리다주에서 불법 체류 혐의로 기소된 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조치로 구금됐다가 48시간이 지난 뒤에야 풀려난 사실이 최근 알려졌다. 로페스-고메스는 과속 단속에 걸렸는데 영어에 서툰 그를 보고 경찰이 불법 체류자라고 판단했다.

무리한 관세 정책도 비판 대상이다. 미국 CNBC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경제 분야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찬성이 43%, 반대가 55%로 나타났다. CNBC는 “(자체) 여론조사 역사상 대통령 재임 중 경제 분야에서 처음으로 순 지지율이 (반대가 찬성보다 많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오바마·클린턴도 비판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전직 미국 대통령들의 비판도 이어졌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에서 168명의 목숨을 앗아간 폭탄 테러가 발생한 지 30년이 된 이날 현지 교회에서 열린 추모행사에서 “근년 들어 나라가 더 양극화했다”며 “모두 누구의 분노가 더 중요하고, 타당한지에 대해 논쟁하는듯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광신자들은 흔히 ‘유감이지만, 이것도 저것도 어쩔 수 없었고, 목적을 위해선 어느 정도 부수적 피해는 감수해야 했다’고 말한다”며 “하지만 그 피해와 함께 살아야 했던 사람이 그런 말을 하는 건 단 한 번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외신들은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발언이 오클라호마시티 폭탄 테러범뿐 아니라 현 트럼프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도 해석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 15일 X에 올린 글을 통해 모교인 하버드대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근 조치를 '불법적 억압'이라고 규정하며 정면 비판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15일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단체 행사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100일도 안 되는 기간에 엄청난 피해와 파괴를 야기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