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교체 못한 출국자, 피해발생시 책임…이달내 로밍중 이용 가능”

16 hours ago 2

해킹 사고 수습 과정 설명 브리핑…유심보호 1714만·교체 92만
연휴 기간 출국자 유심 교체 위해 공항 대기…“불편 끼쳐 사과”

ⓒ뉴시스
SK텔레콤이 해외 출국자 중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가입자가 유심 복제 등에 따른 추가 피해 발해도 100% 책임지겠다고 했다. 또한 공항 로밍센터에서 유심 교체를 위해 대기하는 고객들에게 사과했다.

SK텔레콤은 3일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삼화빌딩에서 해킹 사고 이후 수습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브리핑에는 김희섭 PR센터장, 임봉호 MNO사업부장,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이 참석했다.

김 센터장은 우선 유심 교체를 위해 대기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기다리게 해서 죄송하다”며 “특히 오늘부터 연휴이다보니 출국 전 공항 로밍센터에 많이 몰려 대기줄이 길었다”고 말했다.

류 센터장은 “일차적으로 비정상인증 차단 시스템(FDS)을 통해 감시하고 있다. 이 게 유심보호서비스랑 결합하면 보다 확실한데 (해외 로밍시 이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안하니 피해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겠다”고 부연했다.

FDS는 누군가 불법으로 복제된 유심으로 통신망 인증 시도를 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김희섭 SK텔레콤 PR센터장은 “연휴 기간 SK텔레콤을 비롯,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직원 1160명 정도가 유심 교체 등을 담당하는 2600여개 매장에 자발적으로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공항 로밍센터에는 임직원 700여명이 매일 현장을 지원한다. 공항이 문 여는 새벽 5시 등부터 나가 3교대로 근무할 계획”이라며 “그럼에도 대기 고객이 많겠지만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SK텔레콤은 오는 14일부터 제공하는 유심보호서비스2.0부터 해외 로밍 중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을 복제해 다른 단말로 기기 변경하는 시도를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현재는 해외 로밍 중에 중복으로 이용할 수 없다.

류 센터장은 “유심보호서비스의 경우 국내에선 정상과 비정상인 상황을 구분할 수 잇는 로직을 갖추고 있는데, 현재는 우리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한해 이를 구분할 수 있고 해외에서는 아직 어렵다”며 “2.0버전부터는 인공지능(AI) 기법 등을 통해 국내에서만 한정하던 걸 해외망에서도 구분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유심보호서시비스 총 가입자수는 1714만명이다. 유심 교체의 경우 92만명이 성공했다.

유심 교체 예약자는 740만명 정도다. 이와 관련, 김 센터장은 “이달 말까지 500만장의 유심이 순차적으로 들어온다”며 ”모든 대리점에 한 번에 공급하는 게 아닌 데다 유심을 교체하는 데 작업해야 하는 절차가 있어 하루 유심 교체량이 한계가 있다“며 양해를 구했다.

그러면서 ”이달 보름까지는 유심 부족 현상이 계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이번 고객 유심 정보 유출 사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행정지도를 받았다. 과기정통부는 유심 교체를 위한 물량 공급이 안정화 될 때까지 이동통신 서비스 신규 모집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는 신규 가입은 물론 번호이동도 해당된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2600만개 대리점은 유심 교체 및 유심보호서비스 업무 처리를 우선해야 한다.

이 중 350개 매장은 SK텔레콤 자회사에서 운영하는 직영점이지만 이외는 중소기업 형태의 대리점이다. 이들의 경우 영업을 못 하게 되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임 사업부장은 ”영업 중단에 따른 대리점 보상 부분은 검토 중으로 이후 대리점들과 소통을 통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SK텔레콤은 이통3사 상품을 모두 판매하는 판매점이나 온라인 매장은 직접 계약 관계가 아니라 영업을 정지를 강요할 수 없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임 사업부장은 ”현재 기존 고객에 대한 업무 처리를 하고 신규 유치는 최대한 자제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겠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