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는 거래를 잘한다

8 hours ago 1

  • OpenAI는 공개 기업과의 파트너십 발표만으로도 해당 기업의 주가를 상승시키는 능력을 활용해 수백억 달러 규모의 칩 구매 거래에서 자신이 창출한 시장 가치의 일부를 워런트로 회수하는 전략을 구사
  • AMD와의 거래에서 OpenAI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칩을 구매하면서 AMD 주식 최대 1억 6천만 주(약 10%)에 대한 워런트를 확보했으며, 이는 발표 당일 AMD 주가가 29% 상승하며 시가총액 780억 달러가 증가한 가치의 절반에 해당
  • OpenAI는 이러한 시장 영향력을 Shopify, Etsy 등 전자상거래 기업이나 Atlassian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의 주가를 움직이는 데도 활용하며, 단순한 블로그 포스팅이나 기능 발표만으로도 업계 전반에 파급효과를 일으킴
  • 이 글은 블룸버그 컬럼니스트 Matt Levine의 칼럼으로, OpenAI/AMD 거래 외에도 공개기업의 사기 적발을 목표로 하는 Antifraud Company, 저널리즘과 내부자 정보 거래의 경계를 다룬 Treehouse, 조건부 월드컵 티켓, SEC의 오프채널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시장·규제 이슈를 함께 다룸

OpenAI와 AMD의 파격적인 거래 구조

  • OpenAI는 AMD로부터 6기가와트 규모의 AI 추론용 칩을 수십억 달러에 구매하는 계약을 발표
  • 발표 당일 정오 기준으로 AMD 주가는 금요일 종가 대비 29% 상승한 213달러를 기록하며 시가총액이 약 780억 달러 증가
  • 거래의 핵심은 OpenAI가 AMD 주식 최대 1억 6천만 주(약 10%)에 대한 워런트를 주당 1센트에 확보한 것
    • 이는 운영 및 주가 마일스톤(일부는 주가 600달러 도달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행사 가능
    • 정오 기준 주가로 계산하면 워런트 가치는 약 340억 달러로, OpenAI가 AMD를 위해 창출한 시장 가치의 절반을 회수하는 셈
    • 거래 총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AMD는 기가와트당 수십억 달러가 소요된다고 밝힘
  • OpenAI는 이러한 시장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 지난주 ChatGPT의 즉시 구매 옵션 발표로 Shopify와 Etsy 주가 급등
    • 내부적으로 사용 중인 신기능에 대한 블로그 포스팅으로 Atlassian 등 소프트웨어 기업 주가에 충격
    • AMD 거래 발표로 Nvidia와 Broadcom 주가는 하락
  • 이론적으로 OpenAI는 거래 발표 전에 AMD 주식을 매수하면 내부자거래로 보일 수 있지만, AMD로부터 직접 주식을 매수(워런트 형태)하는 것은 합법적이라는 점을 활용

Antifraud Company: 기업 비리를 수익화하는 5가지 방법

  • 공개기업의 나쁜 행위를 발견했을 때 이를 돈으로 전환하는 주요 방식들
    • 비즈니스: 경쟁사보다 나은 제품/서비스를 만들어 시장에서 승리 (자본주의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사회적으로 유익한 방법)
    • 금융: 공매도를 통해 이익 실현 (나쁜 소식 공개 시 주가 하락으로 수익)
    • 법률: 증권사기 소송이나 내부고발자 보상 프로그램 활용 (미국에서 21세기 들어 매우 중요한 방법)
    • 정부: 2025년 미국에서는 트럼프의 귀를 사로잡아 특정 기업을 공격하도록 유도
    • 언론: 나쁜 소식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활용해 광고나 구독료 수익 창출
  • The Antifraud Company는 이러한 방법들을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시
    • Abstract Ventures, Browder Capital, Dune Ventures로부터 500만 달러 이상 투자 유치
    • "민간 부문 DOGE"를 자칭하며 AI 기반 포렌식과 철저한 조사로 기업 사기 적발
    • 정부 내부고발자 프로그램을 통한 수익화를 비즈니스 모델로 명시
    • 미국 납세자들이 연간 5천억 달러(1인당 약 1,500달러)를 사기로 손실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이 대기업의 조직적 불법행위라고 주장
    • 런칭 비디오
  • Hunterbrook처럼 헤지펀드이자 신문사인 형태가 확산되는 추세
    • 기사 발행(언론), 공매도, 집단소송 주도, 내부고발 신고를 모두 수행
    • "나쁜 소식의 모든 부분을 활용"하는 전략

Treehouse : 저널리즘과 내부자거래 사이의 모호한 경계

  • 저널리즘과 내부자거래는 연속선상에 있음
    • 둘 다 기업 내부인으로부터 비밀 정보를 입수하려는 시도에서 출발
    • 저널리스트는 특종을 발행해 경력 발전, 헤지펀드 애널리스트는 정보로 거래해 수익 창출
    • 차이점은 헤지펀드 애널리스트는 감옥에 갈 수 있다는 것
  • Reorg Research(현 Octus) 사례가 이 경계를 보여줌
    • 부실채권을 다루는 "기업 정보 회사"로 뉴욕 법원은 Reorg가 저널리즘을 하고 있다고 판결
    • 당시 약 375명의 구독자를 보유했으며 구독료는 연간 3만~12만 달러
    • 수조 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가입자들에게 정보 제공
  • 최근 Octus 기자가 Investindustrial이 TreeHouse Foods 인수를 준비 중이라는 특종 보도
    • 이 정보는 먼저 Octus 구독자들에게 저녁 식사 자리에서 공유됨
    • 이후 LinkedIn에 공개되자 TreeHouse 주가 급등
    • "Eataly에서 저녁 식사를 하면서, 아마도 Investindustrial이 과반 지분을 소유한 곳에서" 구독자들이 먼저 정보를 입수했다고 명시
  • 경계선에 대한 추측
    • 5개 헤지펀드에 연간 100만 달러씩 받고 정보를 제공하면 내부자거래처럼 보일 수 있음
    • 500만 명에게 연간 100달러씩 받는 것은 명백히 저널리즘
    • Bloomberg를 포함한 많은 언론사들이 유료 구독자에게 정보 제공, 구독자들은 이를 저널리즘 특종으로 받았기 때문에 거래 가능

Contingent sports tickets: 다변우주 금융과 조건부 스포츠 티켓

  • Paradigm의 Dave White가 제안한 "다변우주 금융" 개념
    • 특정 사건 발생 여부에 따라 금융자산의 가치가 달라지는 상품 거래
    • 예: "민주당이 중간선거에서 승리하면 금리가 하락한다"는 가설을 가진 경우, 민주당 승리 시 100만 달러 국채로 전환되고 패배 시 0달러가 되는 계약 매수 가능
    • 일반 금융상품은 여러 가능한 사건들의 얽힌 시장 내재 확률과 예상 영향을 반영하는 반면, 이는 특정 사건 조건부 자산 가격을 분리
  • 2026 월드컵 티켓팅 시스템이 이 개념을 실제 적용
    • FIFA가 "Right to Buy" 토큰을 판매하여 월드컵 경기 입장 보장권 구매 권리 제공
    • 일부 토큰은 특정 국가 대표팀과 연결되며 더 큰 리스크 수반
    • "Right to Final: England" 토큰은 999달러이며 이미 매진, 잉글랜드가 결승에 진출해야만 결승전 티켓 구매 가능 (추가 비용 미정)
    • Kalshi 예측시장에서 잉글랜드의 월드컵 우승 확률은 약 11%로, 결승 진출 확률은 30% 미만으로 추정
  • 이 시스템의 특징
    • 무조건부 결승전 티켓보다 저렴하게 구매 가능 (대부분의 미래 상태에서 무가치하므로)
    • 실제 소비재(티켓)와 스포츠 도박을 결합
    •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현
  • 스위스 도박 규제당국(Gespa)이 조사 착수
    • 이것이 스포츠 이벤트 티켓 당첨 가능성 판매인지, 도박에 가까운 것인지 조사 중
    • Robinhood의 임원은 스포츠 도박과 주식시장이 본질적으로 유사하다고 주장: "Jets 팬으로서 Jets에 베팅하거나 Tesla 팬으로서 Tesla 주식에 베팅하는 것, 차이가 뭔가?"

Off-channel communications: Gary Gensler의 문자 메시지 삭제 스캔들

  • 하원 공화당이 전임 SEC 위원장 Gary Gensler의 문자 메시지 삭제 사건 조사
    • SEC 감찰관실이 9월 초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2025년 Gensler 재임 중 투명성과 진실성 문제 제기
    •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장 French Hill 등이 현 SEC 위원장 Paul Atkins에게 서한 발송
  • 이중 잣대 논란
    • Gensler SEC는 금융기업들의 "광범위한 기록보관 실패"를 소송하여 2023년에만 4억 달러 이상의 벌금 징수
    • 하원 공화당은 Gensler의 문자 삭제가 명백한 이중 잣대라고 주장
  • 그러나 상황은 더 복잡함
    • Gensler는 개인 휴대폰이 아닌 SEC 발급 업무용 휴대폰에서 문자를 주고받음
    • 업무용 휴대폰은 통신 내용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SEC가 실수로 이를 삭제
    • SEC 감찰관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0월~2023년 9월(암호화폐 집행 캠페인 최고조 시기) 거의 1년치 문자 메시지가 영구 손실
    • SEC IT 부서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자동화된 정책을 구현"하여 Gensler의 정부 발급 모바일 기기를 전체 삭제
    • 부실한 변경 관리, 적절한 백업 부족, 시스템 경고 무시, 벤더 소프트웨어 결함 미해결 등이 손실을 악화
  • Gensler SEC의 "off-channel communications" 집행
    • 은행 등 금융기업들은 직원들의 업무 통신을 일정 기간 보관해야 하는 SEC 규정 준수 의무
    • 많은 은행 직원들이 개인 휴대폰으로 업무 문자를 보냈으나 은행들이 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지 못함
    • Gensler SEC는 이를 규칙 위반으로 간주하고 대규모 벌금 부과
    • 만약 은행이 "우리 직원들은 모두 업무 이메일을 사용했지만 모든 이메일을 삭제했다"고 했다면 훨씬 더 심각한 처벌 대상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