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타가 Scale AI 인수로 알려진 $14B(140억달러, 약 20조 원) 투자는 실제로는 전체 인수가 아닌 지분 49% 확보와 CEO 알렉산더 왕 영입이 목적임
- 기존 Scale AI 임직원들은 주식을 계속 보유하면서도 현금 배당을 받는 구조로, 알렉산더 왕은 메타로 이직하면서도 이사회에는 잔류함
- 메타의 목적은 Scale AI의 사업이 아닌 알렉산더 왕 개인 영입에 초점이 맞춰짐
- 메타는 최근 AI 경쟁에서 뒤처지며, 내부 정치와 리더십 문제, 특히 Yann LeCun 중심의 보수적 연구 문화로 인해 성과 부진을 겪고 있음
- 저자는 특정 개인에 대한 11자리 금액 투자는 비합리적이라 평가하지만, 메타가 조직 문화와 인재 구조 개선에 집중해야 함을 강조함
업데이트: Scale AI 임직원 지분 구조
- Scale AI 임직원들은 모든 주식의 프리미엄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한 번에 받으면서도, 자신이 보유한 주식은 계속 유지함
- 이 구조는 기존 인수와 달리, 임직원들이 회사의 성장에 따른 추가적인 이익을 계속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CEO 알렉산더 왕이 이 구조를 직접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직원 보호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됨
- 대부분의 금액이 CEO에게만 간 것이 아니라 전체 임직원에게 나누어졌음
- 메타가 실제로는 Scale AI 전체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 주주 및 임직원들에게 새로운 현금 보상을 제공한 투자 성격임
메타의 140억 달러 '인수'의 진짜 의미
- 메타가 Scale AI에 140억 달러를 투자하면서 49% 지분만 확보했고, 경영권은 여전히 Scale AI 이사회가 보유함
- 법적으로는 '인수'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메타와 알렉산더 왕의 지분 합계가 과반을 넘기 때문에 회사의 의사결정권을 쥐고 있는 셈임
- CEO 알렉산더 왕은 메타로 이직하지만, 여전히 Scale AI 이사회에 남아 회사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함
- 이 같은 거래 구조는 업계에서 드물며, 메타의 핵심 목표가 회사 자체가 아니라 특정 인재(알렉산더 왕) 확보에 있음을 보여줌
- 기존 인수처럼 모든 지분을 현금화하지 않았고, 지분을 일부만 넘기면서도 경영권 장악이 가능하게 설계됨
Scale AI의 본질과 메타가 원하는 것
- Scale AI는 B2B 데이터 라벨링 및 대규모 인적 리소스 아웃소싱을 중심으로 한 'Mechanical Turk as a Service' 비즈니스를 전개함
- 이 회사는 최첨단 알고리듬이나 IP보다 효율적 인력 운용, 대량 데이터셋 생산이 경쟁력임
- 대형 AI 기업들은 이미 여러 데이터 라벨링 파트너와 자체 라벨링팀을 운영하기 때문에, Scale AI 데이터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음
- 실제로 Scale AI의 주요 고객은 토요타, Etsy, GM, 정부기관 등 AI 생태계의 후발주자 혹은 비전문적 조직임
- 메타가 Scale AI 사업 자체에 큰 가치를 두지 않고, 핵심 인재 확보에 집중한 근거가 됨
메타의 AI 경쟁력 약화와 내부 문제
- 메타는 Llama 2 이후로 AI 경쟁에서 OpenAI, Google, Anthropic 등에 뒤처진 상황임
- 초기에는 오픈소스 전략으로 커뮤니티 주도 생태계를 만들며 'AI계의 리눅스' 이미지를 구축했지만, Deepseek 등 새로운 모델 등장 이후 경쟁력 상실을 경험함
- 메타의 AI 연구 조직인 FAIR(Foundational AI Research)는 Yann LeCun 중심의 보수적·비시장 지향적 문화로 혁신이 저해됨
- LeCun은 과거 Lua와 Torch에 대한 고집, 트랜스포머 및 LLM 회의론 등으로 신기술 채택을 지연시켰고, 실제로 초기 Llama 팀은 LeCun 몰래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저커버그에게 직접 시연한 일화가 있음
-
조직 내 정체와 리더십 갈등, 핵심 인재 유출이 이어지며, 전체 AI 혁신이 더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음
저커버그의 대담한 인재 영입 전략
- 저커버그는 메타 AI 부문 부진의 원인을 내부 관료주의와 조직 경직성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파격적인 인재 영입에 나섬
- 업계 톱티어 인재에게 8~9자리(억~수십억 달러) 연봉, CEO 직속 조직, 자율적 연구 환경을 제안해 직접 영입 시도
- 실제로 나트 프리드먼, 데이비드 그로스, 일리야 서츠케버 등 수많은 AI계 인사에게 영입 제안을 한 것으로 보도됨
- 알렉산더 왕은 저커버그와의 친분, 비공식 AI 자문 역할 등으로 첫 번째 영입 성공 사례임
- 하지만, 초고액 투자를 통한 '슈퍼스타' 인재 집중 전략이 과연 조직 혁신과 AI 역량 향상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함께 존재함
결론 및 저자의 평가
- 저자는 AI 혁신은 특정 '천재' 개인이 아니라, 집단적 실험과 협업 환경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강조함
- 구글처럼 연구 자유, 강력한 협업, 무한한 자원 제공 환경이 장기적으로 혁신을 이끌 수 있음을 예시로 듦
- 메타의 브랜딩과 내부 문화 개선이 AI 경쟁력 회복의 핵심임을 지적하며, 단일 인재에 막대한 투자를 집중하는 접근은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함
- 저커버그의 실행력과 변화 추진력에는 기대를 걸지만, 11자리 연봉의 '한 명 영입' 전략이 메타의 AI 혁신 해법이 될지 미지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