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vidia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4.4조 달러로 세계 1위 기업이 되었고, AI 붐이 과거 닷컴 버블과 비교되고 있음
-
Goldman Sachs는 현재 기술주 상승이 강력한 실적에 기반해 버블이 아니라고 분석했지만, 최근 일부 종목은 1990년대 말과 유사한 과열 신호를 보임
-
Palantir의 고평가와 Figma IPO 급등은 닷컴 시대를 연상시키며, 다수의 AI 유니콘 기업들이 상장 대기 중임
- 투자자 흥분, IPO 시장 활성화, 완화적 정책 등 버블의 4대 조건이 형성되고 있으나, 오늘날 AI 시장은 소수 빅테크 중심의 독점 구조임
- 장기적으로는 Nvidia-Cisco 비교처럼 고성장 기업도 급락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은 결국 기업의 현금흐름을 평가한다는 교훈을 상기시킴
Nvidia와 AI 시장의 현재
- 2025년 8월, Nvidia CEO Jensen Huang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회동 후, 미국 내 생산 확대 계획과 반도체 관세 면제 소식이 전해짐
- 이 발표 직후 Nvidia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
- 시가총액 4.4조 달러로 Microsoft를 제치고 세계 1위 기업이 됨
- 이는 생성형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GPU 수요 급증과 맞물려 AI 호황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됨
- AI 붐이 닷컴 버블과 유사한 경로를 걷는지에 대한 월가 논쟁 확대
Goldman Sachs 분석
- 보고서: “25 Years On; Lessons from the Bursting of the Technology Bubble”
- 2020~2025년 나스닥 지수는 2배 상승, P/E 비율 증가했으나 2000년의 150배 수준엔 못 미침
-
‘매그니피센트 7’ (Alphabet, Amazon, Apple, Meta, Microsoft, Nvidia, Tesla)의 실적이 강력해 버블 가능성 낮다고 평가
- 예: 2022~2025년 Nvidia 매출 5배, 세후 이익 10배 증가
- 그러나 최근 투자자들의 FOMO와 추종 매매가 과거 닷컴 시절을 연상시키는 수준으로 증가
과열 신호
-
Palantir: 최근 실적 발표 후 시가총액이 지난 12개월 이익의 600배, 매출의 130배 수준
-
Figma IPO: 공모가 $33 → 상장 첫날 종가 $115.50(250% 상승), 이후 $80 미만으로 하락했으나 여전히 2배 이상
- 이러한 성공사례가 유니콘 AI 기업들의 상장 유인을 강화
- IPO 대기 AI 기업: OpenAI, Anthropic, Cohere, Databricks, SymphonyAI, Waymo, Scale AI, Perplexity 등
버블 조건 형성과 정책 환경
- 버블형성의 4대 조건:
1. 혁신 기술에 대한 투자자 기대
2. IPO 수수료를 노리는 투자은행
3. 초기 단계 자금 조달 용이성
4. 완화적 정부·금융 정책
- 트럼프 행정부의 AI Action Plan은 규제 완화와 주(州) 단위 규제 억제를 목표로 함
-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시장에 추가 상승 압력을 줄 수 있음
AI 시장 구조와 장기 전망
- 현재 AI 경제는 Big Tech 중심의 독점 구조로, 대규모 모델 구축과 유지가 가능한 대기업이 주도
-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과거 닷컴 시절처럼 폭넓은 기업 성장보다는 소수 대기업의 이익 집중 가능성
- 반독점 정책이 이를 완화할 수 있으나, 정치적 로비로 인해 추진이 약화될 위험 존재
Nvidia-Cisco 비교와 투자 리스크
- 1998~99년 Cisco Systems는 인터넷 인프라 필수 장비 공급사로 주가가 폭등했으나, 2000년 40% 하락 후 1년 만에 80% 폭락
- Nvidia의 GPU가 현재 AI 인프라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유사성이 지적됨
- 벤저민 그레이엄의 격언처럼,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은 ‘투표기계’지만 장기적으로는 ‘저울’ 역할을 함 : "현금흐름이 기업 가치를 결정"
- Nvidia 주가는 비교 분석 이후에도 150% 추가 상승, 단기 과열과 장기 리스크가 공존하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