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관련 투자가 인위적으로 낮은 금리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역사상 최대 규모의 거품을 형성함
- AI 거품은 닷컴 버블의 17배, 2008년 글로벌 부동산 위기의 4배에 달하는 수준임
- 최근 대형 언어 모델(LLM)은 스케일링 한계에 도달하여 투자 대비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현상임
- 투자 추천으로는 자원·신흥시장, 금, 미 국채 및 변동성 지수에 비중을 늘리고, AI와 플랫폼 기업은 피하는 전략임
- 경제는 점차 둔화 국면이며, 이 거품 꺼짐 시 Fed와 정부의 경기부양도 크게 어려워질 위험성이 있음
서론: AI 거품의 역대급 규모 주장
- 최근 인위적으로 낮은 금리 환경이 AI 투자 붐을 부추겼음
- 독립 연구기관 MacroStrategy Partnership의 분석가들은 현재 AI 버블이 기존 모든 자산 거품 중 가장 크다고 지적함
-
Knut Wicksell의 이론을 근거로, 오늘날 자본이 낮은 금리에 지나치게 몰려 비효율적으로 배분되고 있다고 분석함
Wicksellian 적자 및 오용된 자본
- Wicksellian 적자는 AI뿐만 아니라 주택, 오피스 리얼에스테이트, NFT, 벤처캐피털에까지 해당함
- 이로 인해 GDP 내 실질적으로 오용된 비중이 매우 커졌음
- 모든 자본이 다음 단계 성장성을 보장하는 것이 아닌, 저금리에 따른 단기적 이익 추구 현상임
LLM의 기술적 한계 및 상용화 어려움
-
대형 언어 모델(LLM) 은 이미 확장 한계에 도달했거나 근접 중임
- 소프트웨어 기업 실험에서도 작업 완수율이 1.5%~34% 에 불과했으며, 높은 완수율이 지속적으로 재현되지 못했음
- 실제 테스트에서도 예를 들어 체스 보드 "백이 이기기 한 수 전 상황" 같은 구체적 문제도 제대로 풀이 못함
- ChatGPT 등 주요 모델은 버전 업그레이드(3 → 4 → 5) 마다 비용(5천만달러→5억→50억달러)이 기하급수로 증가했으나, 품질 향상은 미미함
-
경쟁사의 추격도 쉽기 때문에 진입장벽(모트)이 사실상 없음
LLM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 문제
- “LLM으로 상업적 가치 있는 앱을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 지적됨
- 생성물은 흔히 게임, 공공 도메인(예: 과제) 등으로 재탕되거나 저작권 제한에 부딪힘
- 효과적 광고 구현이 어렵고, 세대가 거듭될수록 훈련 비용은 폭증, 정확도 이득은 급감함
- 결국 모델별 가격 경쟁력, 수익성, 차별화 부족 문제가 지속 발생함
- 사용량 높은 고객층조차 개발사 입장에서는 월 구독료 대비 원가 부담이 더 큼
경제 영향 및 투자 전략
- 데이터센터 투자와 자산효과가 한계에 달하고 정체할 위험이 있음
- 이는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시기처럼 경기 침체 전환 및 디플레이션 충격 가능성 제기함
- Fed나 행정부의 부양책 효과도 미흡할 수 있다는 우려, 1990년대 초 S&L 사태 후 미국 경제처럼 오랜 기간 정책적 노력 필요성 제시
- MacroStrategy Partnership은 자원·신흥시장(특히 인도·베트남)은 비중 확대(Overweight) , AI·플랫폼 기업엔 비중 축소(Underweight) 권고
- 또 금 생산기업(GDX), 단기 미 국채, 변동성 지수(VIX), 엔화 롱 포지션도 추천함
최신 시장 동향
- S&P 500, Nasdaq 등 주요 지표는 사상 최고치 근접 및 견고한 상승세임
- 금 가격 또한 올해 47% 이상 급등세 유지
- 유가, 장기 국채 등은 혼조세 보임
경제 및 기업 관련 주요 뉴스
-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 지수 발표 예정, 고용 부문 주목
-
Fed 위원인 John Williams, Stephen Miran 연설 예정
- Jefferies, Apple 등급 하향(폴더블 아이폰 기대 과도)
- Applied Materials, 미 정부의 수출 규제로 5분기 동안 7.1억달러 매출감소 예상
- BlackRock이 Aligned Data Centers 인수 협상 중, 기업 가치 400억 달러 전망
추가 이슈 및 마켓워치 인기 종목
- AI가 중국 증시 랠리를 견인하는 흐름도 있음
-
Opendoor의 사업성에 대한 회의
-
미국산 대두를 중국이 올 들어 전혀 구매하지 않아 농작물 향방이 불투명함
- 미국 전체 기업 이익은 1·2분기 연속 마이너스였으나, S&P 500 상장사 이익만은 증가
- 하지만 과거 상관관계상 S&P 500 이익도 조만간 하락 가능성 내포
인기 티커 종목(마켓워치 기준)
- Tesla, Nvidia, GameStop, Taiwan Semiconductor, Palantir Technologies, Nio, Amazon, Intel, Apple, AMD 등
기타 읽을거리
- 일본, 아사히 맥주 품절 위기 임박
- 일본의 한 경비원, 투자 수익으로 연 수입 20만 달러
- 혼령 연구에서 인간의 두뇌 능력은 60세에 정점에 달한다는 결과
(이 기사는 Dow Jones & Company, Inc. 산하 MarketWatch에서 작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