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 넘는 명품백, 원가는 190만원”…중국서 美 관세 폭탄 조롱

12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의 한 의류 제조업체 직원이 에르메스 버킨백을 1400달러에 제조할 수 있다는 내용을 SNS에 올리며 미국 소비자들을 겨냥한 영상을 유포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심리전으로 해석되며, 서방 명품 브랜드 또한 중국에서 저가 생산되고 있다는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에르메스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자사 제품이 프랑스에서 수작업으로 제작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반박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틱톡에서 중국 제조업체 관계자가 명품의 원가와 제조 과정을 공개하는 영상(왼쪽). 중국 인플루언서가 시중 100달러의 룰루레몬의 운동복을 5~6달러에 살 수 있다고 홍보하는 영상(오른쪽). [사진 출처 = 틱톡 캡처]

틱톡에서 중국 제조업체 관계자가 명품의 원가와 제조 과정을 공개하는 영상(왼쪽). 중국 인플루언서가 시중 100달러의 룰루레몬의 운동복을 5~6달러에 살 수 있다고 홍보하는 영상(오른쪽). [사진 출처 = 틱톡 캡처]

“3만8000달러(약 5417만원)에 판매되는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의 버킨백이 우리 공장에서는 1400달러(약 190만원)에 제조 가능합니다”

중국 남부의 한 의류 제조업체 직원은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이같은 콘텐츠를 올렸다. 그는 유창한 영어로 가죽 가방을 들고선 가죽과 인건비 등 제조 과정별 비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사실상 제조 원가가 1400달러인 가방에 ‘에르메스 버킨백’이라는 브랜드 이름이 붙으면서 3만8000달러가 된다는 것이다.

이 영상은 “로고만 없고 에르메스 버킨백과 똑같은 품질의 가방이 필요하면 우리에게 주문하라”고 제안하며 끝난다. 이 업체는 자사 홈페이지에 공장 직원은 5000명이고 샤넬·에르메스의 주문자 부착생산업체였지만, 계약 만료로 지금은 로고 없이 생산한다고 알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2기 출범 이후 미국과 중국이 상대방을 향해 각각 145%, 125% ‘관세 폭탄’ 갈등을 빚으면서 중국 측이 미국 소비자를 겨냥한 듯한 영상을 유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 소비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반감을 갖게 만드는 심리전이 이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가에 판매되는 서방 명품 브랜드들 상당수는 중국에서 저가에 만들어진다는 영상이 퍼지고 있다. 즉 브랜드값으로 판매가가 오르는 만큼 중국에서 직접 구매하라는 영상이 SNS에 연이어 올라오고 있다.

상호관세에 대해 연설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상호관세에 대해 연설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영상들은 트럼프가 촉발한 고율 관세를 조롱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트럼프의 중국 관세 145% 여파로 중국산 생활용품을 사는 미국 소비자들도 가격 폭등의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국 SNS에는 요가 등을 할 때 입는 레깅스로 유명한 룰루레몬과 필라 등 글로벌 스포츠 명품의 주문자부착생산을 전담하는 중국 현지 공장도 소개되고 있다. 한 영상은 “시중에서 100달러(약 14만원)에 파는 룰루레몬 레깅스를 공장가로는 고작 5~6달러면 살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세계 최대 섬유 제품 수출국인 중국의 화학섬유 생산량은 전 세계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서 매년 만들어지는 옷은 700억개로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수준이다. 중국섬유수출입상회는 미국은 중국산 의류의 최대 수입국으로, 지난해 기준 미국은 섬유 제품의 40% 이상을 중국으로부터 들여왔다고 밝혔다.

또 나이키와 H&M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은 최근 공급망을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중국이 핵심 생산기지인 상황이다.

다만 이같은 중국 제조업자들이 올린 게시물이 사실이 아니라는 반박도 나오고 있다. 에르메스는 “버킨백은 100% 프랑스에서 장인들이 수작업으로 만든다”며 중국의 제조 가능성을 부인했다. 또 룰루레몬은 “우리가 판매하는 완제품 중 3%만 중국에서 판매된다”고 밝혔다.

한편, 진위를 떠나 영상은 SNS에서 빠르게 퍼지고 있다. 또 해외 주재 중국 대사관들도 관세 정책과 트럼프 행정부를 조롱하는 듯한 게시물을 올리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